티스토리 뷰

정진홍 외, <새 천년 평화 개념의 정립을 위한 연구>, 새천년준비위원회, 2000,

186쪽,비매품, 자료집


저자

정진홍

1960년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로 있다. 종교현상학이 전공분야이고, 『종교문화의 이해』,『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종교문화의 논리』,『경험과 기억』,『열림과 닫힘』등의 저서가 있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및 내용

3. 기대효과

I부 평화 개념의 역사

1장 서양 문명의 평화 개념

1.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평화 개념

1) 고대 그리스의 평화 개념: ‘중간질서로서의 평화(Eirene)

2) 고대 로마의 평화 개념: ‘지배질서로서의 평화(Pax Romana)

2. 고대 기독교의 평화 개념

1) 구약성서에 나타난 평화 개념: ‘삶의 형식으로서의 평화(Shalom)

2) 신약성서에 나타난 평화 개념: ‘선물로서의 평화

3) 초대 기독교의 평화 개념

3. 중세 기독교의 평화 개념

1) 아우구스티누스의 평화 개념: '지상의 평화'

2) 제한적 평화와 보편적 평화

3) 양검 이론과 의로운 전쟁론

4. 종교개혁기의 평화 개념

1) 뷔텐베르크 모델: 루터

2) 제네바 모델: 칼빈주의

3) 슐라이트하이머 모델: 사틀러

5. 르네상스기의 평화 개념

1) 에라스무스의 평화 개념

2) 프랑크와 역사적 평화교회

6. 근현대 기독교의 평화 개념

1) 에큐메니칼 운동과 본회퍼의 평화 개념

2) 현대 로마가톨릭 교회의 평화 개념

3) 세계교회협의회(WCC)의 평화 개념

7. 근대 서구사상에 나타난 평화 개념

1) 홉스의 평화 개념

2) 칸트의 영구평화론

3) 시민사회와 국가 그리고 평화

2장 유대교와 이슬람의 평화 개념

1. 유대교의 평화 개념: 내적 평화의 길

1) 히브리 성서시대의 평화 개념

2) 중세 탈무드시대의 평화 개념

3) 계몽주의시대의 평화 개념

4) 현대 유대교의 평화 개념

2. 이슬람의 평화 개념

1) 움마와 지하드

2) 시아파와 이맘 사상

3) 근대 이슬람과 지하드 개념의 변천

3장 동양 문명의 평화 개념

1. 인도의 평화 개념

1) 산티와 마음의 평화

2) 아힘사

3) 아소카 왕과 사회적 평화

4) 시크교의 평화 개념

2. 중국의 평화 개념

1) 선진유가의 평화 개념

2) 제자 백가의 평화 개념

3) 진한시대 유가, 도가의 평화 개념

4) 신유학의 평화 개념

3. 일본의 평화 개념 : 평화의 두 얼굴

1) 17조 헌법인가?

2) 일본적 ’()의 가능성

3) ‘사상의 역사적 배경

4장 한국 근현대사에 나타난 평화 개념

1. 한국 신종교의 평화관

1) 동학 사상과 평화 관념

2) 증산교 사상과 평화 관념

3) 원불교 사상과 평화 관념

2. 한국 기독교사에 나타난 평화 개념

1) 개항기의 종교자유 문제와 평화 개념

2) 식민지 시대의 민족운동과 평화 개념

3) 산업화 시기의 평화 개념

4)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

II부 현재의 평화 개념

1장 핵시대와 평화

2장 평화운동의 전개

3장 평화학의 성립

4장 현대심리학에서 보는 평화 문제

1. 가교 이론가로서의 에릭 프롬

2. 인간의 본성은 파괴적인가 평화적인가

5장 인류학의 영장류 연구와 고고학의 선사시대 인간 연구

6장 생태환경문제와 평화

1. 환경문제와 평화

2. 지속 가능한 개발

3. 환경보전과 국제정치

4.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대안적 전망

7장 인권 문제와 평화

8장 여성운동과 평화 개념

1. 페미니즘과 평화 개념의 관련성

2. 여성해방 운동의 유형과 평화 개념

3. 유엔의 여성지위 향상 운동과 평화 개념

4. 국내의 여성운동과 평화 개념

9장 평화주의 사상가의 평화론

1. 레오 톨스토이의 평화론

2. 모한다스 간디의 평화론

3. 마틴 루터 킹의 평화론

4. 돔 헬더 까마라와 파울로 프레이리의 평화론

5. 티크 낫 한의 평화론

6. 달라이 라마의 평화론

III부 새로운 평화 개념의 정립을 향하여

1장 지구화 시대의 자본주의와 평화의 미래

2장 통일을 준비하는 자세

3장 평화의 창조를 위한 대안적 모색: 인식론적 모델의 전환

1. 내적 평화의 인식

2. 적극적인 평화 개념의 수용

3. 문화적 폭력에의 대응

4. 균형감각의 회복

결론: 평화의 패러다임으로

참고문헌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