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은봉, 미르치아 엘리아데,<종교학입문>, 1982, 성대출판부, 216쪽(공역)
책소개
종교학의 창시자이자 언어학·신화학·종교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저자의 종교학 강연집. 1873년에 출간된 이후, 종교철학 및 신학과 명확히 구별되는 것으로서 종교학의 초석을 마련한 책으로 평가된다. 저자는 이 책에서 과학으로서 종교학(Science of Religion)이라는 표현을 반복해서 천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 언어의 발전을 연구함으로써 과학적으로 종교의 본질에 도달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그는 또 종교의 기원을 언어 안에서 찾았고, 종교사상의 발전을 언어에 의해서 증명하고자 했다. 이밖에도 아리아계 제종교 및 셈계의 제종교의 비교를 기축으로 하여 세계 제 종교의 본질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이 책은 언어학적·역사적, 그리고 비교적 방법에 의하여 종교학을 과학적 기반 위에 올려 놓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자
미르치아 엘리아데
1907년 3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종교 철학과 종교사 등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배웠다. 이후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때 투치 도서관에서 인도철학자 다스굽타의 『인도 철학사』에 큰 감명을 받게 된 엘리아데는 1928년부터 그 문하에서 3년간 인도철학을 연구하여, 『요가: 불멸성과 자유』 등을 펴냈다.
1933년부터 1940년까지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영국과 포르투갈에서 루마니아 대사관 문화 공보관으로 근무했으며, 1945년부터는 파리 소르본대학의 종교학 객원교수를 비롯하여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56년에는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로 초빙되어 은퇴 후에도 동 대학에서 종교학을 강의했다.
주요 저술로는 『영원회귀의 신화』, 『이미지와 상징』, 『성과 속』, 『신화, 꿈, 신비』, 『샤머니즘』, 『종교적 신앙과 이념의 역사』, 『세계종교사상사』 등이 있는데, 그의 저술은 구미 종교학계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 고국에서는 소설가로 더 잘 알려지기도 한 엘리아데의 문학작품에는 환상적이고 신비적인 소설이 많다. 그중 작가의 말년에 출간한 『백 년의 시간』(1981)은 그가 일생을 통해 성취한 종교사상과 철학적 세계관이 투영된 작품으로, 엘리아데 탄생 100주년이었던 2007년에는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젊음 없는 젊음(Youth Without Youth)」이란 제목으로 영화화하기도 했다. 1986년 시카고에서 세상을 떠났다.
역자
이은봉
서울대 문리대 종교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성균관대 동양철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을 마쳤다. 덕성여대 인문대 학장과 대학원장, 한국종교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지금은 덕성여대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한국고대종교사상』 『종교세계의 초대』 『종교와 상징』 『여러 종교에서 본 죽음관』 『한국인의 죽음관』『중국고대사상의 원형을 찾아서』『신판』, 『노자-나만 홀로 우둔하고 멍청하도다』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종교형태론』 『성과 속』 『신화와 현실』을 비롯해 『종교학 입문』(엘리아데,기다가와), 『심리학과 종교』(카를 융), 『근대 중국종교의 동향』(윙치찬), 『과학, 신념, 사회』(마이클 폴라니)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미국에서의 종교학의 전망
비교종교학의 장래와 그 원인
지상자(至上者)
종교현상학과 종교철학
종교적 상징의 연구에 관한 방법론의 문제
사회와 역사에서의 진정한 엘리뜨
비그리스도교적 종교의 이해에 대하여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은봉, 미르치아 엘리아데, <신화와 현실>, 성대출판부, 1985(공역) (0) | 2012.02.17 |
---|---|
이은봉, <한국고대종교사상>, 집문당, 1984(공저) (0) | 2012.02.17 |
이은봉, 미르치아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형설출판사, 1978(공역) (0) | 2012.02.17 |
윤이흠, <한국인의 종교관-한국정신의 맥락과 내용>,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공저) (0) | 2012.02.17 |
윤이흠, <일제의 한국민족종교 말살책:그 정책의 실상과 자료>, 고려한림원, 1997(공 (0) | 201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