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이창익, 16세기 종교개혁과 성상파괴론-뮈토스에서 로고스로
종교학연구18(1999),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소, p107-124(18쪽)
2.이창익, 민속적 시공간과 근대적 시공간: 제의적 시공간의 변화
민속학연구7(2000), 국립민속박물관, p161-195(35쪽)
3.이창익, 근대적 시간과 일상의 표준화
역사비평59(2002), 역사문제연구소, p405-420(16쪽)
4.이창익, 설교권력과 성령의 정치학
사회비평33(2002), (주)나남출판, p210-221(12쪽)
5.이창익, 종교와 광고: 광고를 통해 종교를 소비하다
종교문화연구4(2002), 한신인문학연구소, p29-40(12쪽)
6.이창익, 악마주의 정치학과 종교적 파시즘
아웃사이더12(2003), (주) 아웃사이더, p50-61(12쪽)
7.이창익, 종교적 합리주의와 종교적 열광주의: 지나치게 합리적인, 그래서 지나치게 열광적인
진보평론19(2004), 도서출판 현장에서미래를, p47-67(21쪽)
8.이창익, 종교의 영도Ⅰ: 《종교형태론》에 붙이는 주석
종교문화비평8(2005),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07-138(32쪽)
9.이창익, 호모 사케르와 신체 구경꾼 - 성형수술의 종교적 맥락을 찾아서 -
담론201 10 3(2007), 한국사회역사학회, p271-301(31쪽)
10.이창익, 인지종교학과 숨은그림찾기
종교문화비평14(2008),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64-138(31쪽)
11.이창익, 신뢰연구의 현황과 문제: 한림대 <신뢰연구>의 경우
대한민국학술원 논문집47 2(2008), 대한민국학술원, p1-40(40쪽)
12.이창익, 벽의 종교와 파벽의 종교
사목정보2/9 21(2009), 미래사목연구소, p25-29(5쪽)
13.이창익, [특집: 진화, 종교, 그리고 종교학의 미래] 자연주의적 종교연구와 종교학의 죽음
종교문화연구13(2009), 한신인문학연구소, p87-152(66쪽)
14.이창익, 죽음의 연습으로서의 의례: 이중 장례식의 구조와 의미
역사와 문화19(2010), 문화사학회, p7-53(47쪽)
15.이창익, 종교와 월드컵, 관객의 해방을 위하여
사목정보3/7 31(2010), 미래사목연구소, p77-80(4쪽)
16.이창익, 신화로 그리는 마음의 지도
종교문화비평20(2011), 종교문화비평학회, p129-182(54쪽)
17.이창익, (특집: 종교, 구체성의 문화) 종교와 미디어 테크놀로지: 마음의 물질적 조건에 관한 시론
종교문화연구17(2011), 종교와문화연구소, p61-90(30쪽)
18.이창익, 신 관념의 인지적 구조: 마음 읽기의 한계선
종교문화연구17(2011), 종교와문화연구소, p61-90(30쪽)
19.이창익, 종교 사용 설명서: 종교 교육에 대한 시론적 접근
종교문화연구19(2012), 종교와문화연구소, p197-235(39쪽)
20.이창익, 종교와 신도 교육의 문제: 기독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전법학연구3(2013), 불광연구원, p267-325(59쪽)
21.이창익, 사랑이 조각하는 죽음의 공간
종교문화비평23(2013), 종교문화비평학회, p94-140(47쪽)
22.이창익, 죽음에 관한 일곱 가지 이야기: 정진홍의 죽음론
종교문화비평24(2013), 종교문화비평학회, p177-221(45쪽)
23.이창익, 조선후기 역서의 구조와 의미-시헌력서의 다층적인 시간주기
담론201 10(2007), 한국사회역사학회, p271-301(31쪽)
24.이창익, 영화적 상상력의 제의적 구조
종교학연구21(2002),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19-138(20쪽)
25.이창익, 엘리아데와 차이의 해석학-종교의 영도Ⅱ
종교문화비평11(2007),한국종교문화연구소, p38-68(31쪽)
26.이창익, 시헌력 역주에 나타난 시간선택의 의미
종교문화비평1(2002),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55-301(47쪽)
27.이창익, 성스러움의 테크닉- 세시기를 통해 본 우주론적 시공간의 형태론
종교와문화10(2004),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207-232(26쪽)
28.이창익, 생명개념에 대한 인지적 실험으로서의 종교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45(2010), p163-221(59쪽)
29.이창익, 민족기원신화와 신화적 지형학- 신통기에 따른 비교학적 시론
종교학연구19(2000),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45-162(18쪽)
30.이창익, 몸의 테크닉과 희생제의-스포츠에 대한 의례학적 탐구
종교문화비평3(200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9-59(31쪽)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욱, <장서각소장 의궤 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공저) (0) | 2014.07.22 |
---|---|
이욱, <한국종교문화사강의>, 청년사, 1998 (공저) (0) | 2014.07.22 |
이창익, 차옥숭, 신재식, 박규태<종교, 마음을 말하다>, 공동체, 2013 (공저) (0) | 2014.07.17 |
이창익, <마음의 인문학>, 공동체, 2013. (공저) (0) | 2014.07.17 |
이창익, <조선시대 달력의 변천과 세시의례>, 창비, 2013. (0) |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