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조현범, 19세기 중엽 프랑스 선교사들의 극동 정세 인식과 출병 문제
한국사상사학19(2002), 한국사상사학회, p475-505(31쪽)
2.조현범, 19세기 중엽 프랑스 천주교 선교사의 조선 인식
종교연구27(2002), 한국종교학회, p211-235(25쪽)
3.조현범, 디지털 니르바나- 사이버 공간과 초월의 상상력
종교연구30(2003), 한국종교학회, p237-257(21쪽)
4.조현범, 사이비종교론에 대한 성찰
한국종교연구회회보5(1994),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4-10(7쪽)
5.조현범, 월드컵과 이벤트의 종교문화
종교문화비평3(200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60-95(36쪽)
6.조현범, 한국사회와 종교적 타자성의 인식논리
종교문화비평11(2007),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74-207(34쪽)
7.조현범, 문화적 지배와 종교적 저항
대학원논문집13(199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p175-203(29쪽)
8.조현범, 한말 태양력과 요일주기의 도입에 관한 연구
종교연구17(1999), 한국종교학회, p235-254(20쪽)
9.조현범, 19세기 조선천주교회와 시간
청계논총14(199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p173-208(36쪽)
10.조현범, 현대 한국의 국가의례에 대한 시론적 연구
종교연구19(2000), 한국종교학회, p209-233(25쪽)
11.조현범, 19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의 문명관
교회사연구15(2000), 한국교회사연구소, p83-112(30쪽)
12.조현범, A Study on the protestant discourse of civilization in early modern Korea , Korea Journal41(200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p18-43(26쪽)
13.조현범, 근대 한국 개신교의 문명화 담론
종교문화비평1(2002),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29-156(28쪽)
14.조현범, 일제 강점기 조선 천주교회의 정체성
정신문화연구25(200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149-176(28쪽)
15.조현범, {택리지}에 나타난 '지리' 관념
한신인문학연구3(2002), 한신대학교 학술원 인문학연구소, p241-259(19쪽)
16.조현범, 철종대 프랑스 선교사들의 조선 활동과 일상 생활
교회사연구19(2002), 한국교회사연구소, p183-206(24쪽)
17.조현범, 선교사와 오리엔탈리즘: 일제시대 어느 천주교 선교사의 조선 스케치
정신문화연구26(200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155-184(30쪽)
18.조현범, 일요일의 종교사 -근대 한국종교문화의 형성과 시간의 재구획-
종교연구32(2003), 한국종교학회, p211-239(29쪽)
19.조현범, 천도교의 미신타파론에 관한 연구
종교문화연구5(2003), 한신인문학연구소, p139-153(15쪽)
20.조현범, 현대 한국의 죽음 의례와 젊은이들의 죽음 의식
한신인문학연구4(2003), 한신대학교 학술원, p199-219(21쪽)
21.조현범, 모방 신부의 조선 전교
교회사연구22(2004), 한국교회사연구소, p5-29(25쪽)
22.조현범, 서구 종교학의 역사에 대한 지성사적 재조명 -키펜베르크의 논의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17(2004), 대순사상학술원, p113-134(22쪽)
23.조현범, 19세기 조선의 종교문화를 바라보는 천주교 선교사의 시선
역사민속학18(2004), 한국역사민속학회, p225-247(23쪽)
24.조현범, '종교와 근대성' 연구의 성과와 과제
종교문화연구6(2004), 한신인문학연구소, p121-150(30쪽)
25.조현범, 19세기 프랑스 선교사의 조선 이미지에 관한 사례 연구
프랑스학연구30(2004), 프랑스학회, p641-667(29쪽)
26.조현범, 의례의 문화사를 통해서 본 한국 종교의 흐름
한신인문학연구5(2004), 한신대학교 학술원, p313-341(29쪽)
27.조현범, 선교사와 오리엔탈리즘
종교문화비평7(2005),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84-229(46쪽)
28.조현범, 1803년 사천성 시노드 연구
교회사연구24(2005), 한국교회사연구소, p5-40(36쪽)
29.조현범, 천리교의 교리적 특성과 역사
종교연구44(2006), 한국종교학회, p115-138(29쪽)
30.조현범, 프랑스 선교사들과 한국 천주교회의 성모신심
교회사학3(2006), 수원교회사연구소, p235-260(26쪽)
31.조현범, 한국사회와 종교적 타자성의 인식논리
종교문화비평11(2007),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74-205(32쪽)
32.조현범, 한국 종교학의 현재와 미래
종교연구48(2007), 한국종교학회, p1-60(60쪽)
33.조현범, 파리외방전교회와 조선대목구의 분할
교회사연구29(2007), 한국교회사연구소, p15-60(46쪽)
34.조현범, 중국 체류 시기 페레올 주교의 행적과 활동
교회사학5(2008), 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p47-111(64쪽)
35.조현범, 의례 논쟁을 다시 생각함, 헤테로독시아와 헤테로글로시아 사이에서
교회사연구32(2009), (재)한국교회사연구소, p209-274(66쪽)
36.조현범, 분도회 선교사들의 한국 문화 연구
교회사연구33(2009), (재)한국교회사연구소, p169-224(56쪽)
37.조현범, 현대 한국 천주교의 종교적 특성에 관한 고찰
정신문화연구33(20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183-212(30쪽)
38.조현범, 브뤼기에르 주교의 여행 기록에 나타난 샴과 중국
동국사학49(2010), 동국사학회, p139-176(38쪽)
39.조현범, 한국 천주교의 신앙인 만들기 : 두 가지 종교성에 주목하며
정신문화연구34(20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7-36(30쪽)
40.조현범, 선교와 번역 : 한불자전과 19세기 조선의 종교 용어들
교회사연구36(2011), (재)한국교회사연구소, p161-276(116쪽)
41.조현범, 특별 권한(Facultates) 연구 : 브뤼기에르 주교의 경우를 중심으로
교회사연구38(2012), (재)한국교회사연구소, p43-68(26쪽)
42.조현범, Le Catholicisme en Corée(한국의 천주교) 해제
교회사연구38(2012), (재)한국교회사연구소, p161-352(192쪽)
43.조현범, 한국 천주교의 현재와 미래
종교연구26(2012), 한국종교학회, p55-86(32쪽)
44.조현범, 세계 교회의 흐름과 교계제도의 설정 –동아시아 선교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회사연구40(2012), (재)한국교회사연구소, p5-47(43쪽)
45.조현범, 개항기 갓등이 본당의 성립과 지역사회의 복음화
교회사학9(2012), 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p63-93(31쪽)
46.조현범, 한국 천주교와 조상의례 -연옥 교리의 번역과 도입을 중심으로 -
종교연구69(2012), 한국종교학회, p85-122(38쪽)
47.조현범, 한국 천주교의 조직적 특성
종교연구70(2013), 한국종교학회, p219-250(32쪽)
48.조현범, 천리교의 근행 의례
종교연구73(2013), 한국종교학회, p33-62(30쪽)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현수 (0) | 2014.07.17 |
---|---|
전명수 (0) | 2014.07.17 |
최화선 (0) | 2014.07.17 |
전명수, <21세기 종교사회학>, 다산출판사, 2013 (공저) (0) | 2014.07.17 |
전명수, 한국종교사회학회, <한국의 종교사회학>, 늘봄, 2013 (공저) (0) |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