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임현수, 시간과 영원의 二分化 경향-기독교, 이슬람, 인도종교를 중심으로
종교학연구12(1993),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05-128(24쪽)
2.임현수, 신화와 역사의 경계를 넘어서
종교학연구17(1998),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03-124(22쪽)
3.임현수, 고대 중국의 時와 時變에 대한 이해
종교학연구18(1999),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79-105(27쪽)
4.임현수, Rethinking the Concept of Time: Moder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istoriography in Korean Society
Korea Journal41 1(200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p44-68(25쪽)
5.임현수, 개화기 역사서술의 시간성: 중화적 시간성의 음영
종교문화비평1(2002),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80-104(25쪽)
6.임현수, 놀이의 근대적 변용: 스포츠와 종교학적 사유
종교문화비평3(200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1-28(18쪽)
7.임현수, 대한제국시기 역법정책과 종교문화: '음력'의 탄생과 국가경축일의 제정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2006), 푸른역사, p185-211(27쪽)
8.임현수, A Religious Analysis of Education Fever in Modern Korea
Korea Journal47 2(200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p71-98(28쪽)
9.임현수, 중국 전통시기 <<산해경>>의 비교학적 맥락과 위상
종교문화비평12(2007),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27-156(30쪽)
10.임현수, 2000년 이후 한국의 중국신화학: 신화연구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20(2011), 종교문화비평학회, p58-94(37쪽)
11.임현수, (특집: 종교,구체성의문화) 웃음과 죽음의 관계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보들레르와 바흐친의 경우
종교문화연구17(2011), 종교와문화연구소, p21-59(39쪽)
12.임현수, 중국종교 연구 방법에 관한 단상
종교문화연구21(2012), 종교문화비평학회, p391-398(8쪽)
13.임현수, 중국 고대 절지천통(絶地天通) 신화 재고: 장광직(張光直)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19(2012), 종교와문화연구소, p237-273(37쪽)
14.임현수, 전통 시기의 상례문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중심으로
죽음의례 죽음 한국사회(2013), 모시는사람들, p25-42(18쪽)
15.임현수, 폴 리쾨르의 『시간과 이야기』를 읽고
인문논총69(2013), 인문학연구원, p507-516(10쪽)
16.임현수, 신화와 역사: 의미 형성의 두 지층
종교문화비평24(2013), 종교문화비평학회, p106-142(37쪽)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창익,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대한민국학술원, 2012 (공저) (0) | 2014.07.17 |
---|---|
이창익, <사람들은 왜 종교를 믿을까?>, 웅진씽크빅 (0) | 2014.07.17 |
전명수 (0) | 2014.07.17 |
조현범 (0) | 2014.07.17 |
최화선 (0) |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