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뉴스 레터

475호-닭을 치며 모스(Marcel Mauss)를 생각함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7. 6. 20. 15:52

 

 닭을 치며 모스(Marcel Mauss)를 생각함   

 

   

                          news  letter No.475 2017/6/20 

 

 

 


 1.
       얼마 전에 새 식구를 맞이했다. 가문은 오골계 씨, 청계 씨, 성별은 남자 하나와 여자 다섯. 이곳에서 알게 된 선배가 작년부터 닭을 주겠다며 집요하게 간청(?)하는 바람에 받아들인 식구들이다. 그간 닭집 짓는 일이 엄두가 나지 않아 미루어왔었는데, 닭을 가져다 내 집에 풀어놓아야 닭집을 지을 것 같다며 간청이 협박으로 바뀌는 바람에 마침내 새 식구를 맞이하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예상대로 새 식구를 맞이하기 위한 작업은 만만치 않았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낡은 비닐하우스를 새롭게 단장하고 그 안의 주거지와 밖의 놀이터를 위해 철망을 치는 일은 내게는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어쩌랴 이럴 때는 도움을 청해야지. 그런데 농번기라 농사꾼들에게 손을 빌리기에는 너무 염치가 없고, 생각다 못해 이곳에서 알게 된 학교 선생님 두 분께 도움을 구했다. 직업만 교사일 뿐 반은 농사꾼인지라 작업은 착착 진행되었고, 점심을 같이 하자며 불러낸 전문 농사꾼이 얼떨결에 합류하는 바람에 새 식구들이 살 넓고 쾌적한 공간이 마련되었다.


 2.
       이러한 호의에서 경제적 이윤이나 사적 이익의 동기를 찾아내려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 사람들은 자기 이익의 추구나 자신의 좋은 평판을 위해서 내게 그러한 호의를 베푼 건 아니다. 오히려 이들의 호의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의 자연스런 생성을 말하던 맹자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사실 애초에 주겠다는 마음을 내지 않으면 되고, 직장 일로 바쁘다며 도움을 거절해도 무리는 없다. 내게는 내어줄 재화나 기술도 없고, 내 자신이 사람의 평판을 좌지우지할만한 사회적 지위에 있지도 않기 때문이다. 한가로이 노니는 닭들을 바라보며 잠시 마르셀 모스(Marcel Mauss)를 떠올린 건 그 때문이다. “무엇이 그들의 마음(물건)을 타자에게 향하게 하는 것일까?”

 


 .....‘하우’는 부는 바람이 아닙니다. 그러한 것이 결코 아닙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어떤 특정한 물품(타옹가)을 갖고 있어 그것을 나에게 준다고 가정합시다. 또한 당신이 그것을 일정한 대가도 받지 않고 나에게 준다고 합시다. 우리는 그것을 매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가 이 물품을 제3자에게 주면, 일정한 시간이 지난 다음 그는 나에게 ‘대가’(utu)로서 무엇인가를 주려고 마음먹고, 나에게 무엇인가(타옹가)를 선물합니다. 그런데 그가 나에게 주는 이 ‘타옹가’는 내가 당신한테서 받았으며 또 내가 그에게 넘겨준 ‘타옹가’의 영(하우)입니다. 나는 (당신한테서 온) ‘타옹가’ 때문에 내가 받은 ‘타옹가’를 당신에게 돌려주지 않으면 안 됩니다......만일 내가 이 두 번째 ‘타옹가’를 갖는다면, 나는 병에 걸리거나 심지어는 죽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것이 ‘하우’, 즉 개인 소유물의 ‘하우’. 타옹가의 ‘하우’, 숲의 ‘하우’입니다.....(『증여론』, 이상률 역, 한길사, 2002, 66-67쪽.)



       모스는 마오리 족의 선물과 답례의 교환체계의 중심에서 기능하는 물건의 영, ‘하우’에 주목했다. 근대 자본주의의 시장에서 물건(생산물)은 죽은 사물에 불과하다. 물건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몸짓도 하나의 매매 대상으로 간주하고, 따라서 사람조차 사물로 셈하는 오늘날 경제중심주의자들의 시각에서 물건의 영을 이야기하는 마오리 족은 영락없는 ‘원시인’에 불과하다. 여기서 모스는 왜 그러한 토착민의 증여체계에 관심을 두었는지가 궁금해진다. 단지 모스가 활동하던 무렵 서구 학계에서 새롭게 등장한 민족지학적 관심에서 비롯된 것일까? 데이비드 그레이버(David Graeber)는 이 궁금증에 대한 하나의 해답을 제시한다. 그에 의하면, 모스는 이론적 담론이나 심오한 철학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일상적 실천이나 관습을 통해서 드러나는 ‘도덕법칙’을 다루려고 했고, 선물과 답례의 증여 방식은 그 하나의 사례였다는 것이다. 그의 다음 이야기는 더욱 귀에 솔깃하다.


 


「증여론」을 통해 모스가 시도한 것은 결코 사람과 물건,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자유와 의무의 엄격한 구분과 함께 등장한 시장 논리가 어떻게 근대사회의 상식으로 자리 잡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오히려 그의 목적은 그런 논리가 어떻게 이 사회의 상식으로 자리 잡는 데 실패했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가치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서정은 역, 그린비, 2009, 351쪽.)

 


       모스는 근대적 시장 논리가 실패할 수밖에 없는 주된 요인으로 도덕적 토대가 없는, 생산자와 그들의 생산물과의 엄격한 분리와 임노동체계의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품고 있는 내적 모순에 주목했다. 노동의 대가로 지불되는 임금은 ‘생산성’과 ‘이윤’을 고려한 셈법일 뿐, 일의 과정에서 사물에 깃드는 노동자의 정신과 감정, 그리고 노동자 삶 전체를 고려한 셈법은 아니다. 이에 대해 모스는 “인간이 계산기라는 복잡한 기계가 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고 언급하면서 이익과 손실의 셈법에 의해 자신과 타인을 지배하는 ‘경제적 인간’(사회적 부유층)에게 사회 구성원의 안녕과 행복을 위한 ‘고귀한 지출’을 요구한다. 그는 자본주의 시장 논리가 횡횡하는 근대 사회에 필요한 것은 사회 구성원의 생명, 건강, 교육, 가족, 그리고 가족의 장래에 대한 배려가 동반되는 ‘증여의 경제’라고 보았다. 곧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사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리주의적 경제법칙의 비도덕성에서 벗어나 ‘덤’과 ‘공유’에 기초한 증여경제의 도덕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회 구성원은 자신이 ‘충분한 이익’을 공유하지 못하면서 노동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에 자신들의 사회를 지배하는 경제체제와 그와 관련된 법률 전체에 도덕적 반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모스의 이러한 생각에 대해 그레이버는 다음과 같이 보충한다. “임노동 체계에서 노동자는 분명 자신의 전부, 즉 ‘그의 생활과 노동’ 일체를 제공하지만 그 대가로 받는 현금은 결코 자신이 제공한 가치에 상응하지 못한다. 누군가가 자신의 삶 전체를 제공한다면 그것을 제공한 사람의 삶 역시 누군가에 의해 총체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모스의 시각에서 마오리 족이 말하는 물건에 깃든 영, 하우는 경제적 교환에 도덕적 의미를 부여하는, 엄밀하게는 도덕적 토대 위에서 경제적 행위가 이루어지게 하는 종교적 장치이다. 물건의 하우는 증여자, 혹은 최초 생산자의 하우(영, 정신)로서 원래의 소유자에게 돌아가려는 욕망을 지니고 있고, 그러한 욕망이 방해를 받을 때 물건의 소유자에게 질병과 죽음을 안겨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누군가에게 선물을 받은 사람은 그에 상응하는 선물(답례)의 행위를 누군가에게 행해야 할 의무를 갖게 된다. 모스는 토착민의 증여-교환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이러한 증여의 범주에는 물건만이 아니라, 예의, 향연, 의식, 군사적 봉사, 춤, 축제, 동산과 부동산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을 제시한다. 증여-교환의 도덕적 경제체제에서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자발적으로 타자를 위해서 무언가를 기꺼이 내어주어야 한다.

 


 3.
      모스에 대한 생각이 요즘 ‘일자리 추경예산’으로 떠들썩한 정치권에 이어졌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공무원 증원은 비효율적이며 세금 낭비라는 주장과 고용 안정과 청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재원 마련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맞붙고 있는 형국이다. 이에 대해 모스의 논의를 따라가며 든 생각은, 현시점에서 깊이 숙고할 부분은 공정한 분배와 이타적 경제를 위한 도덕적 경제 원리의 수립과 실천이 아닌가 한다. 그와 함께 엉뚱한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다. 증여-교환의 범주에 일(직장)도 포함되면 우리 사회는 어떤 사회로 전환될까? 당연히 이 생각은 경제적 동물의 셈법으로는 남이 힘들게 차린 밥상에 자기 숟가락을 얻겠다는 심보로 헤아려지겠지만, 기탁할 곳 없는 사람들에게 옆자리를 조금 내어주고 차별하지 않는 그런 세상에서는 ‘누구나’ 자존감을 지키면서 평온한 삶을 누리는 행복을 조금은 누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 떠올려 본 것이다.

 


 4.
      노니는 닭들을 바라보다 문뜩 둥지에 놓인 달걀이 두 개 보였다. 입가에 미소를 지으며(그러나 미안한 마음으로) 달걀을 집어 들고 돌아서는데, 마침 동네 어른 한 분이 지나간다. “한 개 드세요. 방금 낳았네요.” 이제 얼마간은 닭과 닭집의 하우에게 미움을 받는 일은 없겠지, 내 마음을 담아 드렸으니.

 

 

 


박상언_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논문으로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간디와 프랑켄슈타인,그리고 채식주의의 노스탤지어:19세기 영국 채식주의의 성격과 의미에 관한 고찰>,<신자유주의와 종교의 불안한 동거: IMF이후 개신교 자본주의화 현상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