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류성민,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7, 650쪽(역)


책소개

『의례의 이해』는 캐서린 벨(Catherine Bell)의 『Ritual: Perspectives and Dimens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을 번역한 것으로 의례에 대한 수많은 이론들과 다양한 의례의 유형들, 그리고 의례가 실행되는 정황들을 총체적으로 다룬 방대한 연구서로서 의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돕고 있는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의례 교과서가 아니다. 저자는 평생 연구한 의례에 대한 자신의 이론과 관점을 여러 다른 이론들과 관점들과 더불어 체계화하고 있다. 의례화(ritualization)와 실천이론(practice theory)이란 두 용어가 이 책을 관통하는 저자의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중국과 한국, 일본, 동남아, 인도 등 동양의 종교와 의례를 심도 있게 연구하여 이 책에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서구 중심적 의례 이해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서구의 의례이론들과 의례라는 개념 자체에 서구적 시각에서 비서구 사회들을 바라보고자 하는 타자 인식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동양의 관점에서 서구의 의례들과 서구적 의례 이해를 조명할 수 있도록 우리에게 도전 의식을 부여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
캐서린 벨

현재 미국 산타클라라 대학교(Santa Clara University) 종교학과 명예교수이다. 맨해튼빌 대학에서 철학과 종교를 전공했다. 시카고 대학에서 종교학 전공(MA, Ph. D.). 1985년에 산타클라라 대학에 교수로 부임한 이래 줄곧 그 대학에서 불교, 일본종교, 중국종교, 종교학방법론 등의 과목을 가르쳤다. 주요 관심영역은 의례학, 종교학방법론, 아시아 종교(특히 중국종교)이다. 1992년과 1994년에 미국종교학회(American Academy of Religion)에서 종교학분야 최우수 저작상을 수상했다. 학술잡지 의 편집자(2007-)이며, (1991-현재), (1997-2000), (1991-2000) 등 여러 잡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역자

류성민


현재 한국종교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신대 신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예일 대학교 대학원과 중국 운남대학교 민족 연구원에서 방문학자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희생제의와 폭력』, 『종교와 인간』 등이 있으며, 『의례의 이해』를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목차

제Ⅰ부 이론들: 의례에 대한 해석의 역사
제1장 신화 또는 의례: 기원과 본질에 관한 물음들
초기 이론들과 이론가들
신화와 의례 학파
종교현상학
의례에 대한 정신문석학적 접근 방법
연구 사례: 아키투 축제의 해석
결론
제2장 의례와 사회: 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구조에 관한 물음들
사회적 유대에 관한 초기 이론들
기능주의
의례에 대한 신(新)기능주의적 체계 분석들
구조주의
주술과 종교와 과학
연구 사례: 무칸다 성인식의 해석
결론
제3장 종교 상징의 구문(構文)과 응용: 의례의 문화적 의미와 해석에 관한 물음들
상징체계와 상징적 행동
언어 이론
수행 이론
실천 이론
연구 사례: 영국과 스와지 부족의 등극 의례에 대한 해석
결론
제Ⅱ부 의례들: 의례 행위의 스펙트럼
제4장 의례 행위의 기본 유형들
통과 의례
달력 의례
교환과 교제의 의례
재난 의례
향연과 단식과 축제
정치 의례
결론
제5장 유사 의례 행위의 특징
형식성
전통성
불변성
규칙 제어성
성례(聖禮)의 상징성
수행성
결론
제Ⅲ부 정황들: 의례적 삶의 구성
제6장 의례의 밀도(密度)
체계
유형론
정통 실천과 정통 교리
전통과 세속
구두와 문자
교회, 종파, 컬트
결론
제7장 의례의 변화
전통과 변형
의례의 창안
미디어와 메시지
결론
제8장 의례의 구상화(具象化)
의례의 거부, 의례로 회기하기, 의례의 낭만화
“의례”라는 개념의 출현
결론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역자후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