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한국종교문화연구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한국종교문화연구소

검색하기 폼
  • 전체 (1565)
    • 뉴스 레터 (882)
    • 연구소 이모저모 (31)
      • 연구소 이야기 (5)
      • 연구원 이야기 (20)
      • 두냥 이야기 (6)
    • 연구소 학술활동 (88)
    • 연구소 대중학술활동 (1)
    • 연구소간행물 (54)
    • 연구원 업적 및 기사 (507)
  • 방명록

앤 카슨 (2)
798호-앤 카슨의 시에서 추스르는 마음

앤 카슨의 시에서 추스르는 마음 news letter No.798 2023/10/3 앤 카슨의 시를 읽다가 오래전, 그러니까 40여 년 전의 일이 떠올랐다. 어느 한 사람이 세상을 떠난 날, 그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또 다른 누군가의 죽음을 전파상 텔레비전의 뉴스 방송을 통해서 슬쩍 알게 되었던 그 날. 그렇게 죽음의 광폭함을 내게 알리는 신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한동안 말문을 닫고 마음의 굴을 파고들며 쉬지 않고 신에게 물음을 던졌던 그때가 떠올랐다. 수많은 사람이 자신의 그림자(출신)를 대면하기 위해 이동하는 축제 기간 한가운데서 앤 카슨은 내게 이렇게 읊조린다. 신에게는 이름이 없었다. 이삭에게는 두 개의 이름이 있었다. 이삭은 눈먼 자라고도 불렀다. 마음의 어두운 하늘 속에서 이삭은 가장자리에 ..

뉴스 레터 2023. 10. 3. 13:37
752호-편집증적 읽기와 회복적 읽기 그리고 녹스 혹은 밤

편집증적 읽기와 회복적 읽기 그리고 녹스 혹은 밤 news letter No.752 2022/11/8 1. 영국의 작가 올리비아 랭(Olivia Laing)은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의 45대 대통령으로 취임선서를 하던 날, 퀴어이론가이자 비평가인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Eve Kosofsky Sedgwick)의 에세이 “편집증적 읽기와 회복적 읽기(Paranoid Reading and Reparative Reading)”1)를 떠올렸다고 한다.2) 눈앞에 펼쳐진 현실의 원인을 다양한 각도에서 추적하고 분명한 인과관계로 설명하고자 하는 무수한 목소리들 앞에서 그녀는 세지윅의 에세이가 파고 들던 질문을 떠올리며 말한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아야한다. 그러나 얼마만큼 세세한 것들이 도움이 되며, 이들..

뉴스 레터 2022. 11. 8. 21:34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종교문화비평 검색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월간 종교인문학
  • 종교학 벌레
  • S T E I N S F A C T …
  • 제이쌍스의 종교와 문화 이야기
  • 뉴스페퍼민트
  • 연구소 트위터
  • 기쁜 소식의 둥지
  • 다밀서원
TAG
  • 조너선 스미스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전쟁
  • 한종연
  • 순례
  • 유교
  • 민족종교
  • 종교문화비평
  • 갑골문
  • 비평
  • 죽음
  • 기후위기
  • 단군
  • 종교학
  • 황선명
  • 무속
  • 종교개혁
  • 정진홍
  • 개신교
  • 신화
  • 연구원
  • 앤 카슨
  • 종교
  • 코로나
  • 기후변화
  • 임현수
  • 기독교
  • 불교
  • 신종교
  • 폭력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