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윤승용, <한국인의 생사관>, 태학사, 2008, 288쪽(공저)
저자
윤승용
한국종교문화연구소장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 생사관이란?
2. 한국인의 역사적 생사관
2장 한국 선도(仙道)의 생사관
1. 한국 선도의 범위와 특징
2. 고대 선교에 나타난 삶과 죽음
3. 중세 관방도교와 무병장수의 염원
4. 조선 선파(仙派)의 생사관
5. 한국 선도의 생명 사상
6. 맺는 말: 정책적 의미
3장 한국불교의 생사관
1. 무아설(無我說)의 생사관
2. 윤회설의 생사관
3. 불교 장례의 역사적 전개
4. 우리나라 불교의 상장례
5. 우리나라 불교 상?장례 의식이 가지고 있는 생사관
6. 우리 나라 장묘문화의 현황과 그 개선방안
4장 제문에 나타난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생사관
1. 서론
2. 공적 영역을 중시했던 주자학적인 사생관
3. 불교와 도교의 사적인 사생관의 포용
4. 결론
5장 신종교를 통해 본 생사관의 이해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신종교의 문화사적 특성
3. 신종교의 삶과 죽음
4. 신종교 생사관의 혁신과 전망
5. 맺는 말
6장 풍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1. 머리말
2. 죽음에 대한 전통적 표현과 인식
3. 저승의 설정과 이승과의 구분
4. 출생에 대한 전통적 인식
5. 맺음말
찾아보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돈구, D.B. 맥코운, <마르크스주의 종교이론>, 서광사, 1991(역) (0) | 2012.02.10 |
---|---|
강돈구, 니니안 스마트, <현대종교학>, 청년사, 1986(역) (0) | 2012.02.10 |
윤승용,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 조계종, 2008(공저) (0) | 2012.02.10 |
윤승용, 신광철, 김윤성, 조현범, <한국 종교문화사 강의>, 청년사, 1998(공저) (0) | 2012.02.10 |
윤승용, <현대 한국종교문화의 이해>, 한울, 1997 (0) | 201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