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박종천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7. 23. 11:30

1.박종천, 仁祖代 典禮論諍(1623-1635)에 대한 종교학적 재평가

종교학연구17(1998),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45-166(22)

 

2.박종천, 斥邪綸音 硏究

종교학연구18(1999),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25-150(26)

 

3.박종천, 조선시대 典禮論諍에 대한 재평가-入承大統의 전례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11(2001), 한국사상문화학회, p85-128(44)

 

4.박종천, <國朝典禮考>에 나타난 茶山 丁若鏞禮論

한국사상사학16(2001), 한국사상사학회, p117-158(42)

 

5.박종천, 종교에 대한 인간주의적 접근과 종교학적 환원-Daniel L.pals의논의를 중심으로

종교와문화9(2003),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209-227(19)

 

6.박종천, (특집-종교학적 상상력과 영화:역사, 기억, 현실) 연금술적 상상력에 제의적 영화 체험:영화<박하사탕>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5(2003), 한신인문학연구소, p47-69(23)

 

7.박종천, 삶과 죽음의 토폴로지: 최근 한국만화의 새로운 흐름

한신인문학연구4(2003), 한신대학교 학술원 인문학연구소, p179-197(19)

 

8.박종천, 생사의 역설과 한국 만화의 스펙트럼

계간만화3 1(2004), 씨앤씨 레볼루션, p207-211(5)

 

9.박종천, 대화의 광장으로 열린 길: 박흥용의 만화관과 작품세계

계간만화5(2004), 씨앤씨 레볼루션, p90-95(6)

 

10.박종천, 만화와 신화의 경계선을 넘어서: 이현세의 <천국의 신화>를 중심으로-

한신인문학연구6(2005), 한신인문학연구소, p53-80(28)

 

11.박종천, 만화와 신화의 경계선을 넘어서: 이현세의 <천국의 신화>를 중심으로-

한신인문학연구6(2005), 한신인문학연구소, p53-80(28)

 

12.박종천, 영화가 종교를 만났을 때-김기덕의 '봄여름가을겨울 그리고 봄'을 중심으로

종교연구44(2006), 한국종교학회, p291-316(26)

 

13.박종천, 다산의 제사관-목민심서 예전 '제사'조를 중심으로

다산학9(2006), 다산학술문화재단, p81-122(42)

 

14.박종천, 다산 예론(禮論)의 실천적 함의

한국실학연구13(2007), 한국실학학회, p39-76(38)

 

15.박종천, 무엇이 게임 플레이를 지속시키는가?

게임산업저널18(2007), 한국게임산업진흥원, p40-55(16)

 

16.박종천, 民堡議 필사본에 대한 연구

다산학12(2008), 다산학술문화재단, p145-173(29)

 

17.박종천, 한국적 이미지의 인드라망(Indra's net)

영상문화13(2008), 한국영상문화학회, p209-230(22)

 

18.박종천, 종교와만화-한국 만화를 중심으로

종교연구52(2008), 한국종교학회, p257-280(24)

 

19.박종천, 종교와마음-인지종교학의 주제와 경향을 중심으로

철학탐구24(2008),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p189-220(32)

 

20.박종천, 16~7세기 禮問答으로 살펴본 退溪退溪學派 禮學

퇴계학보125(2009), 퇴계학연구원, p93-142(50)

 

21.박종천, 신앙 원리와 문화 역량의 변주곡 한국유교의 종교문화적 양태

국학연구14(2009), 한국국학진흥원, p183-218(36)

 

22.박종천, 우암학파의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에 대한 연구

역사와 담론53(2009), 호서사학회, p67-100(34)

 

23.박종천, 종교와 이미지-만화에서 신화와 역사는어떻게 만나는가

종교문화비평16(2009),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41-259(19)

 

24.박종천, 의례적 계승인가, 사회적 구휼인가-조선후기 입후와입양에 대한 다산의 논의

다산학16(2010), 다산학술문화재단, p59-101(43)

 

25.박종천, 標點懸吐(口訣)의 비교 분석

민족문화35(2010), 한국고전번역원, p137-164(28)

 

26.박종천, 화폭에 담은자연, 자연에 새긴 종교적 이념

종교문화비평18(2010),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312-329(18)

 

27.박종천, 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국학연구17(2010), 한국국학진흥원, p363-397(35)

 

28.박종천, 몰입, 종교와 대중문화를 녹이다

종교문화연구15(2010), 한신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p115-140(26)

 

29.박종천,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한국실학연구20(2010), 한국실학학회, p475-506(32)

 

30.박종천, 금기와 욕망의변증법광고와 성스러움의 소비

종교문화비평19(2011),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360-376(17)

 

31.박종천, 문화유산에서 문화콘텐츠로 유교문화원형의 현황과 활용

국학연구18(2011), 한국국학진흥원, p455-501(47)

 

32.박종천, 明齋 尹拯禮學사상 - 務實禮訟觀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37(2011), 한국고전번역원, p39-61(23)

 

33.박종천, 茶山 丁若鏞讀禮通考硏究 初探

한국실학연구21(2011), 한국실학학회, p7-38(32)

 

34.박종천, 이야기에서 이미지로, 이미지에서 의례로

종교문화비평20(2011), 종교문화비평학회, p296-313(18)

 

35.박종천, 성물(聖物)과 부적(符籍): 접촉과 염원의 종교문화

종교문화비평21(2012), 종교문화비평학회, p373-390(18)

 

36.박종천, 다산 예집禮集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

다산학20(2012),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p307-360(54)

 

37.박종천, 종교경관의 전통과 현대: 안동과 성남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18(2012), 종교와문화연구소, p31-55(25)

 

38.박종천, 조선 후기 유교적 가족질서의 확산과 의례적 양상

퇴계학보132(2012), 퇴계학연구원, p131-175(45)

 

39.박종천, 다산 예학의 경세론적 성격

한국실학연구24(2012), 한국실학학회, p195-224(30)

 

40.박종천, 퇴계 예학과 근기실학자의 예학 퇴계退溪성호星湖다산茶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21(2012), 한국국학진흥원, p105-138(34)

 

41.박종천, 寒岡 鄭逑禮論禮說

태동고전연구29(2012), 태동고전연구소, p1-25(25)

 

42.박종천, 조선 후기 예론의 성격과 전개 양상

한국학연구(2013), 한국학연구소, p139-168(30)

 

43.박종천, 다산의 논어 주석서 전승에 대한 연구

다산학23(2013),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p133-174(42)

 

44.박종천, 성호학파의 친족의식과 의례생활-광주안씨 종계를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23(2013), 한국실학학회, p43-87(45)

 

45.박종천,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의 의례생활

국학연구24(2014), 한국국학진흥원

 

46.박종천, 한국종교문화의 역동적 이해

종교문화연구22(2014), 종교와문화연구소, p1-21(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