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윤승용, <한국인의 생사관>, 태학사, 2008, 288쪽. (공저)

 

한국인의 생사관

책소개

『한국인의 생사관』. 한국적 생사관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책. 다양한 사유에 대하여 나름대로 삶과 죽음에 대하여 정리해 보는 데 도움을 준다.

 

저자소개

 

유초하

1948년 생.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한국사상사연구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고문, 한국철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며 충북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쓴 책으로는 『한국사상사의 인식』,『몸』(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학교, 인하대학교, 한신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1991년부터 국립국어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을 거쳐 현재는 국어연구기획부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작업을 할 때 사전에 속담을 수록하는 방식에 문제가 많았음을 알게 되어 이후 속담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속담에 대하여''국어사전에서의 속담 표제항 선정' 등의 논문과 기고문 등 속담에 관한 글을 계속 쓰고 있다. 정승모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태동고전연구소에서 수학하였으며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전남대 사회학과 전임강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는 지역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장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웅진닷컴)가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 생사관이란?
2. 한국인의 역사적 생사관
2장 한국 선도(仙道)의 생사관
1. 한국 선도의 범위와 특징
2. 고대 선교에 나타난 삶과 죽음
3. 중세 관방도교와 무병장수의 염원
4. 조선 선파(仙派)의 생사관
5. 한국 선도의 생명 사상
6. 맺는 말: 정책적 의미
3장 한국불교의 생사관
1. 무아설(無我說)의 생사관
2. 윤회설의 생사관
3. 불교 장례의 역사적 전개
4. 우리나라 불교의 상장례
5. 우리나라 불교 상·장례 의식이 가지고 있는 생사관
6. 우리 나라 장묘문화의 현황과 그 개선방안
4장 제문에 나타난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생사관
1. 서론
2. 공적 영역을 중시했던 주자학적인 사생관
3. 불교와 도교의 사적인 사생관의 포용
4. 결론
5장 신종교를 통해 본 생사관의 이해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신종교의 문화사적 특성
3. 신종교의 삶과 죽음
4. 신종교 생사관의 혁신과 전망
5. 맺는 말
6장 풍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1. 머리말
2. 죽음에 대한 전통적 표현과 인식
3. 저승의 설정과 이승과의 구분
4. 출생에 대한 전통적 인식
5. 맺음말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