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간호] 2002년 4월 30일. 382쪽. 특집 6, 좌담 1, 논문 3, 번역 2, 서평 2 책을 내며 : 새로운 연구공간을 마련하며 특집논문 : 한국사회의 근대성과 종교문화 정진홍, 한국 종교문화의 근대성 경험: 새로운 종교성의 출현을 중심으로 장석만, 한국 의례 담론의 형성: 유교 허례허식 비판과 근대성 이진구, 근대 한국사회의 종교자유 담론 임현수, 개화기 역사서술의 시간성: 중화적 시간성의 음영 김윤성, 여성과 종교에 관한 근대적 담론의 한계와 효과 조현범, 근대 한국 개신교의 문명화 담론 창간호 특별 좌담회 : 한국종교학의 회고와 전망 정진홍, 이민용, 배국원, 장석만, 박규태, 구형찬 연구논문 배철현, 유다인의 토착화 경전 타르굼 성서 이용범. 한국무속의 신의 유형 이창익, 시헌력 역..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임현수 편저, 모시는사람들, 2013, 382쪽 책소개 『신화 신화담론 신화 만들기』는 2000년 이후 전개된 신화학의 흐름 가운데 새로운 경향성을 드러내주고 있다고 생각되는 논문들을 뽑아 놓았다. 이 책은 크게 세부분으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로 기존의 신화담론을 분석한 연구 성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번째 부분은 신화와 신화학의 관계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해 주는 논문들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는 신화와 역사의 관계를 성찰한 다섯 편의 글들로 채워졌다. 목차 서언: 신화담론이라는 신화│정진홍 제1부│신화담론의 형성과 전개 한국 신화담론의 등장 │장석만 1920~30년대 한국사회 ‘신화’ 개념의 형성과 전개│하정현 2000년 이후 한국의 중국 신화학│임현수 제2부│신화학과 신화 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이용범 편저, 모시는사람들, 2013, 340쪽. 책소개 『죽음의례 죽음 한국사회』는 최근 한국 죽음의례 동향을 인문학적인 입장에서 총체적으로 조명한다. 1부에서 한국인의 죽음의례 전통, 주요 종교의 죽음의례의 특징과 변모를 다루고, 2부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죽음의례의 주요 요소인 병원과 전문 장례식장 그리고 상조회사의 현황과 문제점, 새로운 죽음의 의례 등을 다룬다. 부록 편에 일본 장례의 역사와 변화를 소개하는 논문 3편을 수록하였다. 목차 서언: 죽음의례와 죽음 제1부│죽음의례의 변화 전통시기의 상례 문화 전통 죽음의례의 변화와 경향 한국 불교 죽음의례의 유형과 최근의 변화 한국 기독교 죽음의례의 변화 과정과 현재 제2부│죽음의례의 새로운 양상 상조회사의 등장과 죽음의례의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엮음, 청년사, 2011, 284쪽. 책 소개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주최 두 차례의 학술대회 성과를 토대로 하여 모두 여덟 편의 글을 엮은 것이다. 요즈음 민주화와 시장화를 둘러싸고 우리 사회가 열띤 논쟁에 휩싸여 있을 때 한국의 종교계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한국 종교계는 민주화와 시장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그 과정에 어떻게 개입하였으며 민주화와 시장화가 한국 종교계에 미친 효과는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집필한 글이다. 총 8편의 글로 구성된 이 책의 전반부 4편은 신자유주의에 대한 종교계의 인식과 대응을 주로 다루었고, 후반부 4편은 민주화에 대한 종교계의 대응을 종교의 권력화 및 반권력화의 관점에서 주로 다루었다. 우리 사회가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