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건호, 동학운동의 내적 혁신과정 종교학연구12(1993),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29-152(24쪽) 2. 고건호, 개항기 신종교의 후천개벽론의 근대적 변용 한국종교연구회회보6(1995), 한국종교연구회, p31-37 3. 고건호, 開港期 新宗敎 後天開闢論の 近代的 變容 金光敎學35(1995), 金光敎學硏究所 4. 고건호, 신종교 의례의 전개과정 한국종교연구회회보7(1996),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34-45(12쪽) 5. 고건호, 개항기 천주교와 동학-천도교 교회사연구17(2001), (재)한국교회사연구소, p31-48 6. 고건호, ‘종교-되기’와 ‘종교-넘어서기’- 이돈화의 신종교론 종교문화비평7(2005),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42-73(32쪽) 7. 고건호, 천도교 개신기 ‘종교..
안신, , 배재대학교 출판부. 2013, 153쪽. 목차 서문 감사의 글 서론 : 종교현상학의 회귀(The Return of Phenomenology) 1부 종교문화의 다양성(The Diversity of Religious Culture) 1장 비폭력과 세계의 종교 2장 이슬람과 불교의 인간관 3장 이슬람과 불교의 죽음관 2부 종교 간 대화(Inter-religious Dialogue) 4장 이슬람 선교와 종교학 5장 무슬림 여성과 대화의 선교 6장 슬림 여성과 민속이슬람 1 결론 : 비폭력의 오토피아(The Oughtopia of Non-violence)
데이비드 흄, , 안신 옮김, 배재대학교 학술정보처, 2013, 228쪽. 목차 옮긴이의 글 일러두기 서론 1. 다신론은 인류의 원초적 종교였다 2. 다신론의 기원 3. 계속되는 같은 주제 4. 세계의 창조자나 형성자로 고려되지 않는 신들 5. 다신론의 다양한 유형들: 알레고리, 영웅숭배 6. 다신론으로부터 유신론의 기원 7. 이 교리에 대한 확증 8. 다신론과 유신론의 흥망성쇠 9. 박해와 관용에 대한 비교종교 10. 용기 혹은 자기비하에 대하여 11. 이성 혹은 부조리에 대하여 12. 의심 혹은 확신에 대하여 13. 두 가지 대중종교의 신성에 대한 불신앙적 개념들 14. 대중종교의 도덕에 대한 악영향 15. 일반적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