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박규태, 멀치아 엘리아데, <종교의 의미 : 물음과 답변>, 서광사, 1990, 290쪽(역)
책소개
가장 포괄적이고 원대한 주제를 다룬 종교학자로 알려진 엘리아데의 저서를 번역한 것이다. 탈성화된 사회에서 종교학이 담당할 수 있는 문화적 기능을 강조함과 동시에 성과 그 역사적 현현에 대한 체계적인 해석학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씌여졌다.
저자
멀치아 엘리아데
1907년 3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종교 철학과 종교사 등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배웠다. 이후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때 투치 도서관에서 인도철학자 다스굽타의 『인도 철학사』에 큰 감명을 받게 된 엘리아데는 1928년부터 그 문하에서 3년간 인도철학을 연구하여, 『요가: 불멸성과 자유』 등을 펴냈다.
1933년부터 1940년까지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영국과 포르투갈에서 루마니아 대사관 문화 공보관으로 근무했으며, 1945년부터는 파리 소르본대학의 종교학 객원교수를 비롯하여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56년에는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로 초빙되어 은퇴 후에도 동 대학에서 종교학을 강의했다.주요 저술로는 『영원회귀의 신화』, 『이미지와 상징』, 『성과 속』, 『신화, 꿈, 신비』, 『샤머니즘』, 『종교적 신앙과 이념의 역사』, 『세계종교사상사』 등이 있는데, 그의 저술은 구미 종교학계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고국에서는 소설가로 더 잘 알려지기도 한 엘리아데의 문학작품에는 환상적이고 신비적인 소설이 많다. 그중 작가의 말년에 출간한 『백 년의 시간』(1981)은 그가 일생을 통해 성취한 종교사상과 철학적 세계관이 투영된 작품으로, 엘리아데 탄생 100주년이었던 2007년에는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젊음 없는 젊음(Youth Without Youth)」이란 제목으로 영화화하기도 했다.1986년 시카고에서 세상을 떠났다.
역자
박규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6년 도쿄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에도 후기 일본 신종교’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단법인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한양대학교 국제문화대학 일본언어문화학 전공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상대와 절대로서의 일본』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 『일본의 신사』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일본』 들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 『도쿠가와 시대의 철학사상』 『일본신도사』 『국화와 칼』 『신도』 들이 있다.
목차
목차
지은이의 말
1. 신휴머니즘
2. 종교학의 회고: 1912년 이후
3. 종교의 "기원"에 대한 물음
4. 위기와 재생
5. 우주 창생 신화와 "거룩한 역사"
6. 낙원과 유토피아: 신화적 지리와 종말론
7. 입문식과 현대 세계
8. 종교적 이원론 서설: 짝과 양극성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이름찾기
내용찾기
지은이의 말
1. 신휴머니즘
2. 종교학의 회고: 1912년 이후
3. 종교의 "기원"에 대한 물음
4. 위기와 재생
5. 우주 창생 신화와 "거룩한 역사"
6. 낙원과 유토피아: 신화적 지리와 종말론
7. 입문식과 현대 세계
8. 종교적 이원론 서설: 짝과 양극성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이름찾기
내용찾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규태, 시마조노 스스무,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 청년사, 1997(역) (0) | 2012.02.14 |
---|---|
박규태, M. 엘리아데, <상징 신성 예술>, 서광사, 1991(역) (0) | 2012.02.14 |
박규태, A.벵크로프트, <禪 : 실재를 직접 가리키는 것>, 평단문화사, 1986(역) (0) | 2012.02.14 |
류성민, <김정일 이후의 북한선교>, 예영커뮤니케이션, 2008(공저) (0) | 2012.02.14 |
류성민,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7(역) (0) | 2012.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