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돈구, 류성민, 신광철, <한일 근현대와 종교문화>, 청년사, 2001, 430쪽(공저)
책소개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행해진 한일 종교연구자 교류 심포지엄의 성과를 정리했다.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한국과 일본 근현대의 종교사를 다양한 시각에서 서술했다. 각 시대별로 양국에서 한 명씩 선정한 글들을 비교했고 각 시대의 중요한 종교사상을 세 시대로 나누어 수록했다. 또한 근현대의 전체적인 모습과 오늘날의 시점에서 종교에 촛점을 맞추어 양국의 근현대의 비극적 관계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했다.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류성민
현재 한국종교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신대 신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예일 대학교 대학원과 중국 운남대학교 민족 연구원에서 방문학자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희생제의와 폭력』, 『종교와 인간』 등이 있으며, 『의례의 이해』를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신광철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박사논문은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상호관계 및 이해에 대한 연구」이다. 한신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신대학교 중국문화정보학부에서 한중 문화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종교학과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학 및 교육론, 한류와 문화 콘텐츠, 영화 콘텐츠, 만화 애니메이션과 신화, 박물관 및 테마파크 전시 등이다.
목차
1. 총론
한일 종교연구 포럼 : 회고와 전망
민중종교와 근대라는 경험
2. 근대와의 만남
구한말 한국 그리스도인의 삶과 사유구조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
한일 종교연구 포럼 : 회고와 전망
민중종교와 근대라는 경험
2. 근대와의 만남
구한말 한국 그리스도인의 삶과 사유구조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
한국 근대 사회변동과 동학. 천도교 운동
"근대"의 충격과 증산교운동
근대 이행기 전통사회의 변용과 민중종교
"근대"의 충격과 증산교운동
근대 이행기 전통사회의 변용과 민중종교
유교와 종교
명치기의 사회와 천리교
명치기의 사회와 천리교
3. 1945년 이전의 시대
일제 강점기의 한국 종교와 민족주의
근대 한일 관계와 천리교
김광교의 신앙과 1910~20년대의 융화문화제에 대한 일고찰
종교의식과 제국의식
4. 1945년 이후의 시대
한국의 현대종교와 민족주의
광복후 한국의 사회변동과 종교
입정교성회의 전통유지와 사회적응
전후 일본의 사명관과 종교
5. 종교에의 시선
조선조 말 중화적 세계관의 붕괴와 민족종교운동
민족의 해방과 "민족"으로부터의 해방
한일 종교연구자 교류 심포지엄 연혁
일제 강점기의 한국 종교와 민족주의
근대 한일 관계와 천리교
김광교의 신앙과 1910~20년대의 융화문화제에 대한 일고찰
종교의식과 제국의식
4. 1945년 이후의 시대
한국의 현대종교와 민족주의
광복후 한국의 사회변동과 종교
입정교성회의 전통유지와 사회적응
전후 일본의 사명관과 종교
5. 종교에의 시선
조선조 말 중화적 세계관의 붕괴와 민족종교운동
민족의 해방과 "민족"으로부터의 해방
한일 종교연구자 교류 심포지엄 연혁
엮은이. 글쓴이 소개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돈구, <다석 유영모의 동양사상과 신학>, 솔, 2002(공저) (0) | 2012.02.13 |
---|---|
강돈구, 박규태, <종교와민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공저) (0) | 2012.02.13 |
강돈구, 이진구 <한국 개신교 주요 교파 연구(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공저) (0) | 2012.02.13 |
강돈구, <현대 한국종교의 역사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공저) (0) | 2012.02.13 |
강돈구,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공저) (0) | 2012.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