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돈구, <종교와민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240쪽(공저)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박규태
고려대학교 법과대학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는 영미권과 독일어권의 신학서 번역 및 저작에 전념한다. 지은 책으로는 <쉼 : 하늘의 가치와 질서에 순종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종교개혁 시대의 영성>, <기독교의 미래>, <성경완전정복>(이상 좋은씨앗), <약할 때 기뻐하라>(복있는사람), <세상을 잃은 제자도 세상을 얻는 제자도>(국제제자훈련원) 등이 있다.
목차
서론 : 종교와 민족, 독법의 공유를 위하여
제1장 동아시아의 종교와 민족주의 / 강돈구
들어가면서
Ⅰ. 민족주의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두 견해
Ⅱ. 종교와 민족주의
Ⅲ. 동아시아의 종교와 민족주의
1. 중국의 종교와 민족주의
2. 일본의 종교와 민족주의
3. 한국의 종교와 민족주의
나가면서
제2장 불교와 민족주의 : 일본불교와 일련주의를 중심으로 / 박규태
들어가면서
Ⅰ. 니치렌과 『입정안국론』
1. 니치렌의 생애와 저작
2. 『입정안국론』
3. 니치렌의 국가관
Ⅱ. 근대 일련주의와 국가주의
1. 다나카 치가쿠
2. 혼다 닛쇼
3. 이시히라 칸지
4. 키타 잇키
5. 다카야마 조규
6. 미야자와 켄지
Ⅲ. 법화계 신종교(재가불교)와 민족주의
나가면서
제3장 한국 유교와 민족주의 / 김경일
들어가면서
Ⅰ. 조선중화주의의 형성
1. 중화주의
2. 조선중화주의
Ⅱ. 근대 유교와 민족의식
1. 실학의 대두
2. 척사위정론
3. 유교개혁운동
나가면서
제4장 기독교의 역사적 전개와 민족 / 이상훈
들어가면서
Ⅰ. 기독교의 형성과 민족
1. 소위 '상관관계의 법칙'을 통해 본 초기 교부들의 신학
2. '기독교의 헬레니즘화' 논의의 쟁점
3. 교리의 형성과 언어
4. '이단'과 '정통' 논의의 제 정황
Ⅱ. 기독교의 발전과 민족
1. 기독교 세계의 형성과 기독교
2. 교회와 국가, 그 긴장관계의 역학
3. 교권형성의 사회사적 의미
4. 종교개혁과 민족
Ⅲ. 기독교의 적용과 민족
1. 서구 중심의 기독교 대 제3세계의 교회
2. '우리의 우물에서 생수를 마시자'
3. 세계교회협의회의 신학
4. 아시아 신학의 형성
Ⅳ. 한국에서 기독교 되어가기
1. 민중적 관점에서 : 1876년 - 1918년을 중심으로
2. 민족적 관점에서 : 1919년 - 1930년을 중심으로
3. 문화적 관점에서 : 1930년대 이후
4. 미래 엿보기
나가면서
제5장 기독교미술의 토착화를 통해 읽는 민족과 종교 / 이정숙
들어가면서
Ⅰ. 종교와 민족 : 기독교와 각 민족문화의 형성을 중심으로
Ⅱ. 기독교 미술의 토착화에 나타나는 민족과 종교의 상관관계
1. 기독교 미술의 흐름
2. 기독교 미술의 토착화의 원칙
Ⅲ. 동아시아 기독교 미술에 적용된 토착화 : 김기창·와다나베 사다오·장꾸이 지에를 중심으로
1. 雲補 김기창의 「예수의 생애」
2. 와다나베 사다오의 미술
3. 장 꾸이 지에의 미술
나가면서
결론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돈구, <'문화의 세기` 한국의 문화정책>, 보고사, 2003(공저) (0) | 2012.02.13 |
---|---|
강돈구, <다석 유영모의 동양사상과 신학>, 솔, 2002(공저) (0) | 2012.02.13 |
강돈구,류성민, 신광철 <한일 근현대와 종교문화>, 청년사, 2001(공저) (0) | 2012.02.13 |
강돈구, 이진구 <한국 개신교 주요 교파 연구(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공저) (0) | 2012.02.13 |
강돈구, <현대 한국종교의 역사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공저) (0) | 201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