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돈구, 제임스 헌들리 그레이슨, <한국종교사>, 민족사, 1995, 420쪽(역)

책소개

서구의 학계는 동북아시아의 끝부분에 있는 한국에 대해서 거의 모르고 있는 실 정이다. 한국이 아시아의 문화사나 종교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무시되고 간과 되고 있다. 더욱이 한국이 단지 중국문명을 일본에 전해준 다리 역할밖에 하지 않았다고 주장될 정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역사적으로나 현대 세계에서 한국 종교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하면 잘못된 주장이다. 근대 이후 동아시아 에서 가장 정통적이고 전통적인 불교, 유교, 기독교의 역동적인 형태를 이책은 소개하고 있다.

저자

제임스 헌들리 그레이슨

역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역자의 말

제1장 서론

제1절 이 책의 주제와 목적

제2절 한국종교사에 대한 기존의 연구

제1부 한국의 고대 종교

제2장 선사시대의 종교 : 구석기시대에서 4세기까지

제1절 선사시대의 문화

제2절 한국의 고대종교

제3장 삼국시대의 종교

제1절 역사적 배경

제2절 불교의 수용

제3절 유교의 수용

제4절 도교의 수용

제4장 신라와 발해의 종교

제1절 첫번째 남북 분열

제2절 교종(敎宗)의 성장

제3절 선종(禪宗)의 출현

제4절 신라 후기의 유교

제2부 고려시대의 종교

제5장 고려 전기의 종교(935∼1200)

제1절 역사적 배경

제2절 고려 전기의 불교

제3절 고려 전기의 유교

제6장 고려 후기의 종교(1200∼1392)

제1절 역사적 배경

제2절 고려 후기의 불교

제3절 고려 후기의 유교

제3부 조선시대의 종교

제7장 조선 전기의 종교(1392∼1600)

제1절 문화적·정치적 배경

제2절 조선 전기의 유교

제3절 조선 전기의 불교

제8장 조선 후기의 종교(1600∼1872)

제1절 문화적·역사적 배경

제2절 조선 후기의 유교

제3절 조선 후기의 불교

제4절 천주교의 수용

제4부 근대 이후의 한국종교(1872∼)

제9장 조선조의 몰락과 민족의 부흥

제10장 개신교

제1절 조선조의 몰락

제2절 일제하의 개신교

제3절 해방 이후의 개신교

제11장 천주교

제1절 조선조의 몰락

제2절 일제하의 천주교

제3절 해방 이후의 천주교

제12장 유교

제1절 근현대의 유교

제2절 유교의 의례

제13장 불교

제1절 한국불교 재건의 배경

제2절 근현대 불교사의 주요 인물

제3절 불교 교단의 역사

제14장 한국의 이슬람교

제15장 천도교

제1절 교단의 역사

제2절 천도교의 사상과 의식

제16장 신종교

제1절 혼합 종교란?

제2절 증산교

제3절 전도관

제4절 통일교

제5절 원불교

제17장 무속 : 현대사회의 민간신앙

제1절 역사적인 배경

제2절 무속의 담당자들

제3절 신격

제4절 의례

제18장 맺음말

제1절 한국종교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

제2절 한국종교 연구의 중요성

부록 1 고대의 건국신화

부록 2 한국의 종교 통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