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창익, <조선시대 달력의 변천과 세시의례>, 창비, 2013, 372

 

조선시대 달력의 변천과 세시의례

 

 

 

책소개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시헌력서 역주의 의미!

『조선시대 달력의 변천과 세시의례』는 조선후기의 달력인 시헌력서와 세시기를 분석해, 전통 달력이 시간과 관련된 의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한다. 시헌력서는 근대 서양역법을 채택한 달력임에도 세상의 모든 사물, 사건, 현상을 길흉의 범주로 분류한 역주로 가득하다. 여기서 오늘 우리가 사는 직선적인 근대의 시간과는 다른 원리로 구성된 우주론적 순환구조의 시간체계, 과학과 긴밀히 결합한 주술-종교적 삶을 발견한다.

이 책은 연구방법과 의미를 다룬 서론, 결론 외에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조선후기 역서의 특징’은 시헌력서의 구조 분석이고, 제2부 ‘시간주기와 길흉의 상호관계’는 시헌력서에 나타난 시간 개념과 의례의 관계를 논의한다. 제3부 ‘역서와 세시의례의 상호관계’는 19세기에 씌어진 《동국세시기》를 전형으로 세시기를 분석해 의례와 역서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아울러 제4부 ‘순태양력 채용에 따른 세사의례의 변화’는 1896년부터 시행된 태양력 채용의 내력과 의미를 추적한다.

 

저자소개

 

이창익

저자 : 이창익
저자 이창익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한신대 학술원 연구교수와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HK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는 한림대 생사학연구단 HK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에: 책의 내부에 들어가기 위한 외부
서론: 연구 목적과 의의
1. 연구 목적과 방법
2. 연구사 검토
3. 연구내용
제1부 조선후기 역서의 특징
제1장 역서의 시간
제2장 시헌력서의 특징: 시간과 행위의 공감적 연합
제3장 시헌력서의 구조 분석
1. 시헌력서의 첫째 장
2. 시헌력서의 둘째 장
3. 시헌력서의 정월~십이월
4. 시헌력서의 마지막장
5. 윤월
제4장 시헌력서의 우주론적 의미
제2부 시간주기와 길흉의 상호관계
제1장 역주의 탈미신화
1. 역주의 미신화와 탈미신화
2. 인간행위에서 택방?택일의 의미
3. 시간의 근대화와 역주의 소멸과정
제2장 시헌력서의 시간역주에 대한 시론적 접근
1. 시헌력서 역주의 의미
2. 시헌력서 역주의 다층적 시간주기: 시간역주(1)
3. 의례일에 의한 택일법: 시간역주(2)
4. 금기일에 의한 택일법: 시간역주(3)
제3장 시간역주와 행위역주의 상호성
1. 역주에 의한 일상행위의 조직화: 행위역주
2. 행위역주의 법칙
제4장 시공간선택 관념의 의미
제3부 역서와 세시의례의 상호관계
제1장 세시기를 통해 본 우주론적 시공간의 형태론
1. 세시기 연구의 연원
2. 세시기의 서술방식
3. 연구대상이 되는 세시기의 종류와 연구방법
4. 『동국세시기』를 통해 본 우주론적 시공간의 형태론
5. 우주론적 시공간의 형태론: 성스러움의 테크닉
제2장 조선후기 역서와 세시의례의 상호성
1. 의례의 저항
2. 역서와 선교
3. 행위의 시의성
4. 의례의 테크닉
5. 조선시대 역서의 다층적인 시간주기
6. 역서와 의례의 상호성: 탈시간화된 시간개념
제3장 앙리 위베르의 역서이론: 역서를 만드는 의례
1. 신화, 의례, 시간
2. 역서구성의 원리
3. 종교적 시간표상의 질적 성격
4. 역서의 시간분할
5. 역서와 성스러움
6. 역서의 종교적 성격
제4부 순태양력 채용에 따른 세시의례의 변화
제1장 근대적 시간과 일상의 표준화
1. 번역된 시간
2. 의례와 시간
3. 시간의 이원화 현상
4. 시간의 탄생
5. 시간기념일
6. 행위의 시간화 현상
제2장 민속적 시공간과 근대적 시공간
1. 시간, 공간, 의례: 제의적 걷기
2. 역법의 개편과 근대적 시공간의 출현
3. 민속적 시공간: 이야기의 시공간성
4. 민속과 근대화
결론
부록: 시헌력서에 대한 상세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