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창익, <마음의 인문학>, 공동체, 2013, 551쪽. (공저)

 

 

마음의 인문학 동서양의 마음 이해

 

 

 

책소개

 

『마음의 인문학: 동서양의 마음이해』는 3부로 구성된 책이다. 1부는 마음인문학의 모색이고, 2부는 동양의 마음 이해, 3부는 서양의 마음이해이다. 마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인문학적 사유들을 고민하였다. 동양의 마음이해로서 불교, 도교, 유교, 원불교 등에서 논의되어온 마음담론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철학, 종교학, 사회생물학 등 분야에서 찾을 수 있는 마음담론들을 정리해 보았다.

 

목차

 

서문: 몸과 마음, 사회, 그리고 마음인문학의 과제 _한내창
01 마음인문학의 모색
1. 마음인문학 연구의 범주와 방법 _김도종
2. 마음인문학의 사상적 정초: 필요성과 이를 위한 방법적 시론 _양대종
3. '마음'의 한 정의: 마음인문학과의 관계에서 _이기흥
4. 종교와 미디어 테크놀로지: 마음의 물질적 조건에 관한 시론 _이창익
5.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음인문학 전자문화지도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_백현기
02 동양의 마음이해
1. 초기불교의 마음과 실천 _김재성
2. 관자 4편에 나타나는 '심(心)' 개념 연구 _윤지원
3. 백옥섬의 도심불이론(道心不二論) _김낙필
4. 중국 초기선종에서 '심론(心論)'의 형성과 전개 _김진무
5. 티베트불교에서 성불의 의미: 색신 성취의 수행을 중심으로 _양오영
6. 득통기화의 유불논쟁과 도덕의 지향점:『현정론』의 마음(心)을 중심으로 _양은용
7. 스리 오로빈도의 마음구조와 인간의 진화 _정혜정
8. 원불교 마음공부의 원리와 범위 _장진영
03 서양의 마음이해
1. 정동(情動)들의 위계질서에 대한 고찰: 힘에의 의지를 중심으로 _양대종
2. 신화로 그리는 마음의 지도 _이창익
3. 사회생물학의 환원주의 비판: 마음 작용의 양상을 중심으로 _이기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