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이욱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7. 22. 12:54

1.이욱, 허목의 재이관(災異觀)-그의 제의(祭儀)적 대응을 중심으로-

종교학연구14(1995),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53-168(16)

 

2.이욱, 朝鮮前期にぉける鬼神論から宗敎地形變化

立命館文學549(1997), 입명관대학교, p147-163(17)

 

3.이욱, 조선전기 귀신론에 관한 연구

종교연구15(1998), 한국종교학회, p259-275(17)

 

4.이욱, 조선전기 산천제

종교학연구17(1998),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35-144(10)

 

5.이욱, 조선시대 유교 신관에 관한 연구

종교문화연구1(1999), 종교문화연구소(한신대)

 

6.이욱, 17세기 여제의 대상에 관한 연구

역사민속학9(1999), 민속원, p315-347(33)

 

7.이욱, 조선시대 국가사전과 영험성의 수용-기우제차의 정비를 중심으로-

종교와문화6(2000),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65-88(24)

   

8.이욱, 조선시대 국가 사전과 여제

종교연구19(2000), 한국종교학회, p149-168(20)

 

9.이욱, 조선전기 국가기우제와 산천

Journal of Korea Culture1(2000), 고려대학교 한국학교육연구단

 

10.이욱, 조선후기 기곡제 설행의 의미-장서각 소장 사직서의궤와 등록을 중심으로-

장서각4(200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157-180(24)

 

11.이욱, 조선전기 원혼을 위한 제사의 변화와 그 의미

종교문화연구3(2001), 한신인문학연구소, p.169-187(19)

 

12.이욱, 제사의 종교적 의미에 대한 고찰

유교사상연구(2002), 한국유교학회, p.79-106(28)

 

13.이욱, 조선 전기 유교 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118(2002), 한국사연구회, p.161-193(33)

 

14.이욱, 대한제국기 환구제에 관한 연구

종교연구30(2003), 한국종교학회, p.181-214(34)

 

15.이욱, 대종교의 선의식과 단군의례

신종교연구8(2003), 한국신종교학회, p.129-155(27)

 

16.이욱, 조선시대 공간 상징을 통한 왕도 만들기

종교문화비평3(200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97-122(26)

 

17.이욱, 조선시대 친경례의 변천과 그 의미

종교연구34(2004), 한국종교학회, p.289-322(34)

 

18이욱, 근대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95(200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59-94(36)

 

19.이욱, 조선후기 전쟁의 기억과 대보단 제향

종교연구42(2006), 한국종교학회, p.127-163(27)

 

20.이욱, 조선전기 한양 천도와 풍수설

종교문화비평10(2006),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91-121(31)

 

21.이욱, 조선시대 왕실의 始祖肇慶廟 건립

조선시대사학38(2006), 조선시대사학회, p.163-200(38)

 

22.이욱, 조선시대 노성 궐리사와 공자 사당

종교연구47(2007), 한국종교학회, p.1-35(35)

 

23.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慶嬪金氏 가례를 중심으로-

藏書閣19(2008), 한국학중앙연구원, p.39-67(29)

 

24.이욱, 조선후기 제관(祭官) 차정(差定)의 갈등을 통해 본 국가 사전(祀典)의 변화

종교연구53(2008), 한국종교학회, p.113-143(31)

 

25.이욱, 조선 및 한국 근대의 제천 문화

仙道文化8(2010), 국학연구원, p.55-88(34)

 

26.이욱, 조선시대 왕실 원조(遠祖)의 무덤찾기-준경묘(濬慶墓)와 영경묘(永慶墓)를 중심으로

종교연구60(2010), 한국종교학회, p1-34(34)

 

27.이욱, 조선시대 왕실 제사와 다례(茶禮)

쌀삶문명연구5(2010), 쌀삶문명연구원, p99-122(24)

 

28.이욱, 조선시대 왕실 제사와 제물의 상징 : 혈식(血食소식(素食상식(常食)의 이념

종교문화비평20(2011), 종교문화비평학회, p221-260(40)

 

29.이욱, 조상제사의 의미와 기억의 의례화儀禮化

국학연구19(2011), 한국국학진흥원, p473-501(29)

 

30.이욱, 조선후기 종묘 증축과 제향의 변화

조선시대사학보61(2012), 조선시대사학회, p153-194(42)

 

31.이욱, 신주(神主): 영혼의 안착과 공덕의 표상

종교문화비평22(2012), 종교문화비평학회, p265-280(16)

 

32.이욱, 제기(祭器) : 신을 위한 기물(器物)

종교문화비평23(2013), 종교문화비평학회, p349-369(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