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책소개
다종교사회에서의 건강한 신앙생활이 어떤 것인가를 논하고 불교, 유교, 천주교,개신교 등 우리나라 각 종교의 의례와 특성, 의례의 전개와 현황을 정리했다.
목차
발간사 = 1
서문 = 3
제1부 종교생활과 종교의례 = 23
Ⅰ. 종교생활 = 25
1. 종교문화와 종교생활 = 25
2. 다종교 사회의 종교생활 = 28
Ⅱ. 종교의례 = 33
1. 의례의 의미와 위상 = 33
2. 의례의 특성 = 37
3. 의례의 구성요소 = 39
4. 의례의 형태 = 43
Ⅲ. 한국의 의례문화 = 56
1. 의례문화의 전통과 전개 = 56
2. 의례문화의 현황과 특성 = 60
제2부 한국의 종교의식과 예절 = 71
불교의 의례 = 73
Ⅰ. 전래와 신앙 = 73
1. 전래과정 = 73
2. 신앙과 교리 = 77
Ⅱ. 일상 종교 예절 = 86
1. 사찰내에서의 예절 = 86
2. 법당(法堂)에서의 예절 = 88
3. 인사방법 = 90
4. 일상 생활예절 = 94
Ⅲ. 의례와 의식 = 95
1. 일상 정기의례 = 96
2. 기도 및 기원의례 = 99
3. 입문의례(入門儀禮) = 110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112
5. 수련의례 = 115
6. 금기사항 = 121
Ⅳ. 불교 제종파별 특징의례 = 127
1. 태고종(太古宗)의 의례 = 127
2. 진각종(眞覺宗)의 의례 = 128
3. 천태종(天太宗)의 의례 = 129
4. 법화계열(法華系列) 종파의 의례 = 130
유교(儒敎)의 의례 = 132
Ⅰ. 전래와 신앙 = 132
1. 전래과정 = 132
2. 신앙과 교리 = 135
Ⅱ. 일상 종교예절 = 141
1. 유교시설의 출입예절 = 141
2. 유교시설에서의 참배절차 = 142
3. 인사방법 = 143
4. 타종교인과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150
5. 일상 생활예절 = 151
Ⅲ. 의례와 의식 = 155
1. 일상 정기의례 = 155
2. 기원의례 = 170
3.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175
4. 평생의례 = 176
천주교의 의례 = 202
Ⅰ. 전래와 신앙 = 202
1. 전래과정 = 202
2. 신앙과 교리 = 204
Ⅱ. 일상 종교예절 = 212
1. 성소 출입예절 = 212
2. 일상 생활태도 = 213
Ⅲ. 의례와 의식 = 214
1. 전례의 기본체계 = 214
2. 각종 천주교 의례들 = 225
개신교의 의례 = 249
Ⅰ. 전래와 신앙 = 249
1. 전래과정 = 249
2. 신앙대상 = 250
3. 세계관 및 기본교리 = 252
Ⅱ. 일상 종교예절 = 255
1. 교회에서의 예절 = 255
2. 인사방법 = 256
3.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258
4. 일상 생활예절 = 259
Ⅲ. 의례와 의식 = 260
1. 일상 정기의례 = 260
2. 기도 및 기원의례 = 266
3. 수련의례 = 271
4. 입문의례 = 272
5. 종교력에 의한 행사의례 = 276
6. 평생의례 = 280
7. 금기사항 = 284
Ⅳ. 개신교의 다른 의례들 = 287
1. 개신교 신앙과 의례의 다양성 = 287
2. 성공회의 의례 = 288
3. 오순절교회의 의례 = 292
4. 토착화와 상황화를 위한 실험 의례들 = 296
5. 개신교 의례의 위상과 전망 = 300
천도교의 의례 = 304
Ⅰ. 역사와 신앙 = 304
1. 역사 = 304
2. 신앙과 교리 = 308
Ⅱ. 일상 종교예절 = 314
1. 교당 출입예절 = 314
2. 인사방법 = 314
3.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314
Ⅲ. 의례와 의식 = 315
1. 의절(儀節)의 기본정신 = 315
2. 일상 수도생활과 정기의례 = 317
3. 입문의례 = 325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327
5. 평생의례 = 330
6. 수련의례 = 338
7. 금기사항 = 339
대종교의 의례 = 342
Ⅰ. 역사와 신앙 = 342
1. 역사 = 342
2. 신앙과 교리 = 344
Ⅱ. 일상 종교예절 = 354
1. 천궁에서의 예절 = 354
2. 인사방법 = 356
3. 일상 생활예절 = 357
Ⅲ. 의례와 의식 = 358
1. 일상 정기의례 = 359
2. 기원의례 = 361
3. 입문의례 = 370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372
5. 평생의례 = 373
6. 수련의례 = 375
7. 금기사항 = 378
원불교의 의례 = 381
Ⅰ. 역사와 신앙 = 381
1. 역사 = 381
2. 신앙과 교리 = 384
Ⅱ. 일상 종교예절 = 386
1. 교당에서의 예절 = 387
2. 인사방법 = 388
3.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390
4. 일상 생활예절 = 390
Ⅲ. 의례와 의식 = 395
1. 정기의례 = 395
2. 기도 및 기원의례 = 399
3. 입문의례 = 401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403
5. 평생의례 = 405
6. 수련의례 = 412
7. 금기사항 = 415
Ⅳ. 결론 = 419
증산교의 의례 = 421
Ⅰ. 역사와 신앙 = 421
1. 역사 = 421
2. 신앙과 교리 = 424
Ⅱ. 일상 종교예절 = 428
1. 성전에서의 예절 = 428
2. 인사방법 = 429
3. 일상 생활예절 = 429
Ⅲ. 의례와 의식 = 429
1. 일상 정기의례 = 429
2. 기도 및 기원의례 = 432
3. 입문의례 = 433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433
5. 평생의례 = 434
6. 수련의례 = 434
7. 금기사항 = 434
Ⅳ. 증산교의 각 교단의례 = 437
태극도 = 437
미륵불교 = 449
증산법종교 = 455
증산도 = 464
대순진리회 = 478
천도영부삼우회 = 487
청우일신회 = 492
정교회의 의례 = 500
Ⅰ. 전래와 신앙 = 500
1. 전래과정 = 500
2. 신앙과 교리 = 503
Ⅱ. 일상 종교예절 = 505
1. 성당 출입예절 = 505
2. 일상 생활예절 = 506
Ⅲ. 의식과 의례 = 506
1. 일상 정기의례 = 506
2. 기도 및 기원의례 = 508
3.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509
4. 정교회의 7품성사 = 511
수운교의 의례 = 517
Ⅰ. 역사와 신앙 = 517
1. 역사 = 517
2. 신앙과 교리 = 518
Ⅱ. 일상 종교 예절 = 520
1. 법당에서의 예절 = 520
2. 인사방법 = 522
3.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523
4. 일상 생활예절 = 523
Ⅲ. 의례와 의식 = 524
1. 일상 정기의례 = 524
2. 기도 및 기원의례 = 527
3. 입문의례 = 528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529
5. 평생의례 = 530
6. 수련의례 = 532
7. 금기사항 = 532
갱정유도의 의례 = 535
Ⅰ. 역사와 신앙 = 535
1. 역사 = 535
2. 신앙과 교리 = 537
Ⅱ. 일상 종교예절 = 539
1. 성소 출입예절 = 539
2. 인사방법 = 539
3.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539
4. 일상 생활예절 = 540
Ⅲ. 의례와 의식 = 541
1. 일상 정기의례 = 541
2. 기도 및 기원의례 = 544
3. 입문의례 = 545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545
5. 평생의례 = 546
6. 수련의례 = 547
7. 금기사항 = 548
일관도의 의례 = 549
Ⅰ. 전래와 신앙 = 549
Ⅱ. 일상종교예절 = 551
1. 성소 출입예절 = 551
2. 법단에서의 예절 = 551
3. 인사방법 = 552
4.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553
5. 일상 생활예절 = 553
Ⅲ. 의례와 의식 = 553
1. 일상 정기의례 = 553
2. 입문의례 = 557
3.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558
4. 평생의례 = 562
5. 수련의례 = 563
6. 금기사항 = 563
이슬람의 의례 = 565
Ⅰ. 전래와 신앙 = 565
1. 전래과정 = 565
2. 신앙과 교리 = 566
Ⅱ. 일상 종교예절 = 570
1. 성원 출입예절 = 570
2. 인사방법 = 571
3.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571
4. 일상 생활예절 = 571
Ⅲ. 의례와 의식 = 573
1. 일상 정기의례 = 576
2. 기도 또는 기원의례 = 577
3. 입문의례 = 577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577
5. 평생의례 = 579
6. 수련의례 = 582
7. 금기사항 = 584
한얼교의 의례 = 586
Ⅰ. 역사와 신앙 = 586
1. 역사 = 586
2. 신앙과 교리 = 586
Ⅱ. 일상 종교예절 = 589
1. 성소 출입예절 = 589
2. 일상 생활예절 = 590
3. 복식 예절 = 591
Ⅲ. 의례와 의식 = 592
1. 일상 정기의례 = 592
2.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595
3 입문의례 = 596
4. 수련의례 = 597
각세도천지원리교의 의례 = 599
Ⅰ. 역사와 신앙 = 599
1. 역사 = 599
2. 신앙과 교리 = 600
Ⅱ. 일상 종교예절 = 602
1. 영단(靈壇) 출입예절 = 602
2. 인사방법 = 602
3. 일상 생활예절 = 603
Ⅲ. 의례와 의식 = 603
1. 정기의례 = 603
2.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606
3. 평생의례 = 606
천존회의 의례 = 612
Ⅰ. 역사와 신앙 = 612
1. 역사 = 612
2. 신앙과 교리 = 613
Ⅱ. 일상 종교예절 = 613
1. 성소 출입예절 = 613
2. 수도원 출입예절 = 614
3. 인사방법 = 615
4.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616
5. 일상 생활예절 = 616
Ⅲ. 의례와 의식 = 617
1. 일상 정기의례 = 617
2. 기도 또는 기원의례 = 619
3. 입문의례 = 620
4.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621
5. 평생의례 = 622
6. 수련의례 = 624
7. 금기사항 = 624
한불교천지종의 의례 = 625
Ⅰ. 역사와 신앙 = 625
1. 역사 = 625
2. 신앙과 교리 = 625
Ⅱ. 일상 종교예절 = 626
1. 사원 출입예절 = 626
2. 인사방법 = 626
3.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을 만날 때의 예절 = 626
4. 일상생활예절 = 626
Ⅲ. 의례와 의식 = 627
1. 일상 정기의례 = 627
2. 기도 및 기원의례 = 627
3. 입문의례 = 628
4. 평생의례 = 628
5. 종교력에 따른 행사의례 = 628
6. 수련의례 = 629
7. 금기사항 = 629
제3부 한국 의례문화의 전망과 과제 = 631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승용, <교단정화운동과 조계종의 오늘>, 선우도량, 불교신문사, 2001 (공저) (0) | 2014.07.24 |
---|---|
윤승용, 한일종교포럼 <한일 근현대와 종교문화>, 청년사, 2001 (편) (0) | 2014.07.24 |
윤승용, <Religious Culture in Korea>, 문화체육부, 1996 (편) (0) | 2014.07.24 |
윤승용, <현대 한국종교문화의 이해>, 한울, 1997 (0) | 2014.07.24 |
윤승용, <한국 신종교 연구조사 보고서>, 한국종교연구회, 1996 (공저) (0) | 201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