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윤승용, <종교문화공간의 시회적 활용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문화관광부, 2003 (공저)

 

표지이미지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조사연구의 목적과 의미 = 9
제2절 조사연구의 범위 = 10
제3절 조사연구의 방법과 내용 = 11
1. 조사연구 방법 = 11
2. 종교문화공간의 유형 = 11
3. 종교문화공간의 시설유형과 활용 프로그램 = 12
4. 조사 방법 = 12
5. 서술 방법 = 13
6. 조사연구진 = 13
제2장 종교와 문화공간
제1절 종교공간의 개념과 특성 = 15
제2절 문화공간의 개념과 형태 = 16
1. 문화공간의 의미와 형태 = 16
2. 문화공간의 모델과 운용 = 18
제3절 종교와 문화공간의 만남 = 19
1. 종교와 문화예술의 만남 = 19
2. 종교문화공간의 운용현황 = 22
제4절 종교문화공간의 사회적 활용 = 23
1. 문화공간의 현황과 역사 = 23
2. 종교문화공간의 중요성 = 24
3. 종교문화공간 활용의 사회적 효과 = 25
제3장 종교문화공간의 활용사례 조사내용
제1절 불교의 공간 활용 사례 = 27
1. 실상사 = 27
2. 골굴암(사) = 32
3. 관음사 = 37
4. 길상사 = 40
5. 미황사 = 43
6. 사나사 = 47
7. 용주사 = 51
8. 전등사 = 54
9. 청량사 = 57
10. 봉원사(한국불교태고종) = 60
11. 삼광사(대한불교천태종) = 64
제2절 개신교의 공간 활용 사례 = 71
1. 서귀포중앙교회 = 71
2. 봉동교회(예장고신) = 75
3. 일산광성교회(예장통합) = 79
4. 황지중앙교회(예장통합) = 83
5. 정동제일교회(기독교대한감리회) = 86
6. 남양주교회(대한성공회) = 89
7. 경동교회(기장) = 92
8. 새안산레포츠교회(감리교) = 95
9. 낙골교회 = 98
10. 푸른마을교회(예장통합) = 101
제3절 가톨릭 공간의 활용 사례 = 104
1. 서울교구 명동본당 = 104
2. 서울교구 목동본당 = 108
3. 서울교구 신곡2동 본당 = 111
4. 서울교구 일산 본당 = 113
5. 수원교구 대학동 본당 = 116
6. 수원교구 분당요한 본당 = 119
7. 원주교구 대화성당 = 121
8. 천주교 청주교구 스콜라 칸토룸 = 124
9. 대전교구 요나(대천해수욕장) 본당 = 126
10. 대전교구 전민동 성당 = 129
제4절 신종교 공간의 활용 사례 = 133
1. 원불교(圓佛敎) = 133
2. 천도교(天道敎) = 143
3.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 = 148
4. 대종교(大倧敎) = 152
5. 금강대도(金剛大道) = 158
제5절 기타 종교문화 공간의 활용사례 = 161
1. 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회 = 161
2. SGI한국불교회 = 167
3. 이슬람교 = 171
4. 단학선원 = 175
5. 동이학교 = 179
제4장 종교문화공간 활용의 분석과 평가
제1절 조사연구의 요약 및 평가 = 183
1. 불교 = 183
2. 개신교 = 184
3. 가톨릭 = 185
4. 신종교 = 185
5. 기타 종교문화 공간 = 186
제2절 종교문화공간의 활용에 대한 분석 = 187
1. 불교 공간의 활용 = 187
2. 개신교 공간의 활용 = 197
3. 가톨릭 공간의 활용 = 206
4. 신종교 공간의 활용 = 214
5. 기타 종교문화공간의 활용 = 224
제5장 종교문화공간 활용방안 및 정책제안
제1절 종교문화공간의 활용방안 = 231
1. 시설 자원의 현황과 활용 방안 = 231
2. 인적 자원의 현황과 활용 방안 = 234
3. 프로그램 선택 및 기획 능력의 제고 = 236
제2절 종교문화공간 활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 246
1. 종교문화공간 활웅의 정책적 고려사항 = 246
2. 종교문화공간의 운용지원방안 = 248
참고문헌 = 25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