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강돈구, 구세군의 역사와 정체성
종교연구57(2009), 한국종교학회, p1-29(29쪽)
2. 강돈구, 근대 한국 신종교의 민족 개념
종교문화비평6(2004),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20-148(29쪽)
3. 강돈구, 기독교의 전래와 서양철학의 수용
철학사상4(1994),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p197-239(43쪽)
4.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연구62(2011), 한국종교학회, p237-263(27쪽)
5. 강돈구, 동아시아의 종교와 민족주의
종교연구22(2000), 한국종교학회, p15-33(19쪽)
6. 강돈구, 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회의 특징과 전개
종교연구39(2005), 한국종교학회, p213-242(30쪽)
7. 강돈구, 美軍政의 宗敎政策
종교학연구12(1993),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원, p15-42(28쪽)
8. 강돈구, 미륵신앙과 미륵대도
신종교연구4(2001), 한국신종교학회, p111-134(24쪽)
9. 강돈구, 수운교의 특징과 전개
종교연구42(2006), 한국종교학회, p1-24(24쪽)
10. 강돈구, 新羅別記 所載 삽혈儀式의 過程
종교학연구3(1980),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61-78(18쪽)
11. 강돈구, 新宗敎硏究序說
종교학연구6(1986),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81-223(43쪽)
12. 강돈구, '여호와의 증인'의 특징과 전개
종교연구43(2006), 한국종교학회, p45-69(25쪽)
13. 강돈구, 傳統思想과 종교간의 協助
종교연구4(1988), 한국종교학회, p3-25(23쪽)
14. 강돈구, 종교 상호 공존의 논의, 그 이후
종교연구34(2004),p1-26(26쪽)
15. 강돈구, '종교문화'의 의미
종교연구61(2010), 한국종교학회, p33-67(35쪽)
16. 강돈구, 宗敎心理學의 傾向과 課題
종교학연구10(1991), 서울대학교 종교학 연구회, p39-63(25쪽)
17. 강돈구, 종교의례 연구의 경향과 과제
종교연구17(1999), 한국종교학회, p1-19(19쪽)
18. 강돈구, 鮑石亭의 宗敎史的 意味
한국사상사학4,5(1993), 한국사상사학회, p43-66(24쪽)
19. 강돈구, 한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종교연구48(2007), 한국종교학회, p139-162(24쪽)
20. 강돈구, 함석헌 종교사상의 계보
종교연구23(2001), 한국종교학회, p1-22(22쪽)
21. 강돈구, 現代 宗敎理論의 爭點
종교학연구11(1992),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79-105(27쪽)
22. 강돈구, 현대 중국의 한국종교-동북 삼성을 중심으로
종교연구54(2009), 한국종교학회, p73-101(29쪽)
23. 강돈구, 정역의 종교사적 이해
한국종교의 이해(1985), 집문당
24. 강돈구, 한국 민족주의에 대한 종교학적 연구
韓國哲學宗敎思想史(1990), 원광대출판국
25. 강돈구, 한국의 종교 연합운동
人類文明과 圓佛敎思想(1991), 원불교출판사
26. 강돈구, '한국적인그리스도교'를 메시아운동을 통해 복원하다
종교문화비평19(2011),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390-406(17쪽)
27. 강돈구, 단군신화의 민속학 및 철학.사상 분야의 연구
단군-그 이해와 자료(1994), 서울대출판부
28. 강돈구, 한국 무교회 운동의 종교사적 의미
종교다원주의와 종교윤리(1994), 집문당
29. 강돈구, 한국종교학의 회고와 전망
정신문화연구18(199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 강돈구, 다석 유영모의 종교사상(1)
정신문화연구19(199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1. 강돈구, 다석 유영모의 종교사상(2)
정신문화연구20 4(19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231-259
32. 강돈구, 한국 신종교의 역사관
현대 한국종교의 역사이해(19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3. 강돈구, 오순절교의 특징과 전개
한국 개신교 주요교파 연구1 (199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4. 강돈구, 이슬람 선교의 다양화와 종교학의 기여: 이해와 화해, 그리고 대화의 선교
선교신학23(2010), 한국선교신학회, p123-151
35. 강돈구, 침례교의 특징과 전개
한국 개신교 주요교파 연구 1(199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6. 강돈구, 신종교 연구의 길
한국종교23(1998),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37. 강돈구, 한국의 전통종교와 기독교
Korea Journal38, 3(1998), 유네스코한국위원회
38. 강돈구, 근대 기독교민족주의의 재이해
종교문화연구1(1999), 한신대 종교문화연구소
39. 강돈구, 한국민족주의와 단군
단군학연구1(1999), 단군학회, p288-310
40. 강돈구, 세계종교의 변동과 한국종교의 미래
계간사상12 1(2000), 사회과학원, p98-116
41. 강돈구, 새로운 신화 만들기 : 재야사학에 대한 또 다른 이해
정신문화연구23 1(2000), 한국학중앙연구원, p3-26
42. 강돈구, 유영모 종교사상의 계보와 종교사상사적 의의
다석 유영모의 동양사상과 신학-동양적 기독교 이해(2002), p337-387
43. 강돈구, 광복 후 한국의 사회변동과 종교
宗敎から東アジアの近代を問う(2002), ぺりかん社, p352-381
44. 강돈구, 대종교의 종교민족주의
단군학연구6(2002), 단군학회, p171-196
45. 강돈구, 한국의 종교적 상황과 민족 통합 과제
단군학연구7(2002), 단군학회, p5-27
46. 강돈구, 한국의 문화 정체성과 종교정책
문화의 세기 한국의 문화정책(2003), 보고사, p53-88
47. 강돈구, 동아시아의 신화, 종교, 민족 정체성
신화와 역사(2003), 서울대학교출판부, p417-441
48. 강돈구, 한국종교사 - 갈등에서 공존으로
국문화와 종교적 다양성(200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13-49
49. 강돈구, 유영모
Pioneers of Korean Studies(2004),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191-217
50. 강돈구,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의 특징과 전개
종교연구39(2005), 한국종교학회, p213-242
51. 강돈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현재와 미래
한국종교교단연구Ⅱ(2007),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p11-46
52. 강돈구, 현대 한국의 종교, 정치 그리고 국가
종교연구51(2008), 한국종교학회, p1-28
53. 강돈구, 금강대도의 현재와 미래
종교연구65(2011), 한국종교학회, p121-150
54. 강돈구, 東亞的“宗敎文化”
道與東方文化(2012), 宗敎文化出版社, p262-284
55. 강돈구, 유교조상의 미래
종교연구69(2012), 한국종교학회, p1-26
56. 강돈구, 해방이후의 종교와 정치
사회변동과 종교적 대응(2013),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p101-120
57. 강돈구, 한국 종교교단의 '국학운동'
종교연구70(2013), 한국종교학회, p97-127
58.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신관과 의례
종교연구73(2013), 한국종교학회, p145-175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옥숭, 위르겐 몰트만 <오늘날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한국신학연구소, 1998 (역) (0) | 2014.07.24 |
---|---|
황필호 (0) | 2014.07.24 |
강돈구, <종교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문화관광부, 2005 (공저) (0) | 2014.07.24 |
강돈구, 박규태, 신광철 <宗敎から東アジアの近代を問う:종교에서 본 동아시아 근대>, ぺりかん社, 2002 (공저) (0) | 2014.07.24 |
강돈구, <한국 신종교 실태 조사 보고서>, 한국종교학회, 1985 (공저) (0) | 201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