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장석만, ‘종교’를 묻는 까닭과 그 질문의 역사: 그들의 물음은 우리에게 어떤 문제를 던지는가?
종교문화비평22(2012), 한신인문학연구소, p15-50
2. 장석만,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중일 삼국의 정교분리 담론
역사와 현실4(1990), 한국역사연구회
3. 장석만, 3.1 운동에서 종교는 무엇인가
1919년 3월 1일에 묻다(2009),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189-212
4. 장석만, 9.11 참사와 이슬람 '원리주의'를 보는 눈
사회비평 겨울호(2001), 나남출판사
5. 장석만, Protestanism in the Name of Modern Civilization
Korea Journal39 4(1999),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p187-204
6. 장석만, The Formation of Antiritualism in Modern Korea
Korea Journal41 1(2001),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p93-113
7. 장석만, The Politics of Haircutting in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1(1998),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26-52
8. 장석만, 개항기 천주교와 근대성
교회사연구17(2001), 한국교회사연구소
9. 장석만, 개항기 한국사회와 근대성 형성
세계의 문학69(1993), 민음사
10. 장석만, 근대적 사고의 수로를 찾아서: 근대적 담론의 형성과 한국사회
현대비평과 이론2 2(1992), 한신문화사
11. 장석만, 근대지식의 계보학: 문화와 종교 개념의 경우
트랜스토리아3(2003), 박종철출판사, p98-124
12. 장석만, '기독교사회책임', 그 이름값을 묻는다: ‘정교분리 원칙’의 갑옷을 벗어던지고
기독교사상553(2005), 대한기독교서회, p11-22
13. 장석만, 기억, 이야기, 권력: 회고록과 역사서술의 진실성
사회비평28(2001), 나남출판사
14. 장석만, 만해 한용운과 정교분리원칙
불교평론3(2001), 불교평론사, p93-111
15. 장석만, 매스 미디어와 종교: 텔레비전은 종교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사회비평33(2002), 나남
16. 장석만, 민족과 인종의 경계선-최남선의 자타인식
종교문화비평7(2005),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1-42(32쪽)
17. 장석만, 병원의 장례식장화와 그 사회적 맥락 및 효과
종교문화비평16(2009),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23-145
18. 장석만, 본래부터 성스러운 것이란 없다: 종교학에서의 성과 속 연구
지식의 최전선1(2002), 한길사
19. 장석만, 부디즘, 불교, 불연의 엘리아데
불교연구36(2012), 한국불교연구원, p197-218
20. 장석만, 수염 깎기와 남성성의 혼동
역사비평59(2001), 역사문제연구소
21. 장석만, 신자유주의와 종교의 위치
종교문화비평13(2008),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3-34(22쪽)
22. 장석만, 우리 눈에 비친 이슬람
사회비평 봄호(2002), 나남출판사
23. 장석만, 우주적 상상력의 '시중(時中)적 성찰'을 위하여: 김지하 사상의 '틈' 벌리기
당대비평 겨울(1999), 도서출판 삼인
24. 장석만, 인간과 관계된 것 치고 낯선 것은 없는 법이다: 조나단 스미스의 종교학
현대사상 봄호(1999), 민음사
25. 장석만, 인권담론의 성격과 종교적 연관성
종교문화비평12(2007),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7-32(16쪽)
26. 장석만, 종교와 근대적 자아의 대립: 종교중독
소문 창간호(2007), 소통과 문화
27. 장석만, 종교와 동물, 그 연결점의 자리
종교문화비평21(2012), 종교문화비평학회, p15-44
28. 장석만, 종교학공부와 인생공부는 연결될 수 있는가?
현대사상 가을호(1999), 민음사
29. 장석만, 토끼, 모기, 그리고 좀벌레
종교문화비평19(2011),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377-389(13쪽)
30. 장석만, 페티시즘의 개념사, 그 발명과 의미망
종교문화비평9(2006),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1-28
31. 장석만, 한국 개신교의 또 다른 모색: 기독교조선복음교회와 도시산업선교회
역사비평70(2005), 역사문제연구소, p103-122
32. 장석만, 한국 근대성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검토: 누구의 근대성? 그리고 왜 근대성?
현대사상 여름호(1997), 민음사
33. 장석만, 한국 기독교와 이단생산의 사회
오늘의 동양사상9(2003), 예문 동양사상연구원, p142-156
34. 장석만, 한국 신화담론의 등장
종교문화비평5(2004),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91-113(23쪽)
35. 장석만, 한국 의례담론의 형성
종교문화비평1(2002),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6-49
36. 장석만, 한국의 두드러진 자살 풍경: 한국 노인의 자살
철학과 현실82(2009), 철학문화연구소, p79-95
37. 장석만, 한국종교, 열광과 침묵 사이에서
당대비평 가을호(2000), 도서출판 삼인
38. 장석만, 한국의 장례식장화와 그 사회적 맥락 및 효과
종교문화비평16(2009),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23-145(23쪽)
39. 장석만, 해방 후 한국 개신교의 역사적 흐름과 성격
Korea Journal44 4(200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p133-156
40. 장석만, 해방 후 한국종교사의 흐름
한국현대사: 진실과 해석(2005), 나남출판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진홍, 엘리아데 <우주와 역사:영원회귀의 신화>, 현대 사상사, 1976 (역) (0) | 2014.07.30 |
---|---|
정진홍, <종교학입문, 대한기독교서회, 1973 (역) (0) | 2014.07.30 |
장석만, <싸우는 인문학: 한국 인문학의 최전선>, 반비, 2013 (공저) (0) | 2014.07.30 |
장석만, <한국의 나무꼭두: 또 다른 여행길의 동반자>, 옥랑문화재단, 2007 (편) (0) | 2014.07.30 |
신광철 (0) | 201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