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박종천,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 글항아리, 2011, 232쪽

책소개

예기』에는 '예는 국가를 굳건하게 하고 사직을 안정시켜 임금으로 하여금 그 백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군주가 군주답고 신하가 신하다운 것이 예의 정도이며, 위엄과 은덕이 임금에게 있는 것이 예의 명분이며, 높고 낮음, 크고 작음, 강하고 약함에 따라 자리를 잡는 것이 예의 도수이다'라고 말한다. 순자는 예를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것이라고 보았다. 반면 노자는 예가 지배자가 백성을 억누르는 도구로 변질되었음을 확언했으며 장자는 예를 “도의 꽃이요, 혼란의 근원”으로 간주했다. 이 책은 예가 지닌 다양한 층차에 대한 총체적 설명을 시도한 결과물로 예의 근원을 알고, 그것을 추구한 인간의 사유의 역사를 안다면, 그것이 왜 소통과 억압의 양극단을 왕래했는지 그 이유를 파악할 수 있을것이다.

저자

박종천

백제의 역사가 감도는 한강과 풍납토성 사이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한국유교와 예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태동고전연구소, 실시학사 경학연구회, 삼례역락 등에서 경학과 예학을 공부했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여러 대학에서 종교학, 동양문화, 문화콘텐츠, 신화,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대해서 강의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하고 한다. 저술로는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제사와 제례문화』 『유교와 종교학』 『한국유학사상사대계-종교사상편』 『역주 국조전례고』 『역주 시경강의』 『정본 주자어류소분』 등이 있으며, 만화평론가로서 『만화, 생사의 미궁을 열다』를 내기도 했다.

목차

책머리에_예, 몸짓의 예술인가 억압의 기제인가?

1장 풀이하는 글
1. 예禮 기본 의미: 제사 의례, 도덕 실천, 문화 관습, 사회제도
2. 예의 구조와 특성
3. 예의 역사와 예에 대한 비판
4. 예의 현대적 가치와 의의

2장 원전과 함께 읽는 예禮
1단계 제사와 제의: 근본에 보답하는 의례
2단계 예제와 예전: 공동체를 다스리는 질서와 제도
3단계 예절과 예속: 도덕적 실천과 문화적 관습
4단계 예법과 예치: 문화적 제도와 문화적 통치
5단계 예의 비판자들: 인위적 인간소외와 억압적 봉건질서

3장 원문 및 함께 읽어볼 자료
1. 원문
2. 참고하면 좋은 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