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박종천, <역주 국조전례고>, 심산문화, 2010, 312쪽
책소개
다산 정약용의 『국조전례고』는 조선과 명나라에서 일어났던 전례문제, 곧 입승대통에 따라 왕위를 계승한 임금이 자신의 생부를 추숭하는 전례를 둘러싸고 일어난 논쟁을 다룬 예서이다. 이 책에 나타난 다산의 예론은 친속과 군통을 분리하고 공적인 천리와 사적인 인정의 역동적 긴장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의례적 실천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사적 의례와 공적 의례의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 『국조전례고』를 통해서 의례의 역동적 긴장관계를 유지하여 유교적 공동체 질서를 제대로 확립하려는 다산의 고심을 읽을 수 있다.
이 책『역주 국조전례고』는 역자가 『태동고전연구』에 4년에 걸쳐 연재했던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이며 책 앞부분에 본인의 논문을 재구성한 해설을 달아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은 예송과 당쟁이라는 정치적 갈등으로만 편향 곡해되어 온 유교적 이념 논쟁을 유교문화의 역동적 모습을 잘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저자
박종천
백제의 역사가 감도는 한강과 풍납토성 사이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한국유교와 예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태동고전연구소, 실시학사 경학연구회, 삼례역락 등에서 경학과 예학을 공부했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여러 대학에서 종교학, 동양문화, 문화콘텐츠, 신화,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대해서 강의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하고 한다. 저술로는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제사와 제례문화』 『유교와 종교학』 『한국유학사상사대계-종교사상편』 『역주 국조전례고』 『역주 시경강의』 『정본 주자어류소분』 등이 있으며, 만화평론가로서 『만화, 생사의 미궁을 열다』를 내기도 했다.
목차
머리말
범례
해설: 『국조전례고』에 나타난 정약용의 예론
1. 유교적 전통사회의 전례논쟁과 『국조전례고』
2. ‘입승대통’의 전례문제와 ‘계승’의 종교문화적 의미
3. 친속과 군통의 분리
1) ‘입승대통’과 ‘위인후’의 관계
2) ‘양자’와 ‘후사’의 관계
4. 천리와 인정의 조화
5. 조선과 중국의 전례논쟁에 대한 비평
1) 성종대 덕종 추숭 논쟁
2) 선조대 덕흥군 추숭 문제
3) 인조대 원종 추숭 논쟁
4) 정조대 진종 및 사도세자 추숭 문제
5) 명 세종대 ‘가정대례의’
6. 『국조전례고』의 예론과 사상사적 의의
역주 『국조전례고』
제1부 조선시대 전례논쟁 비평
1. 성종대 덕종 추숭 전례
2. 선조대 덕흥군 추숭 전례
3. 인조대 원종 추숭 전례
4. 정조대 진종 및 사도세자 추숭 전례
제2부 가정대례의: 명 세종대 흥헌왕 추숭 논쟁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혜란, 윤승용, <신자유주의 사회의 종교를 묻는다>, 청년사, 2011(공저) (0) | 2012.02.17 |
---|---|
박종천,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 글항아리, 2011 (0) | 2012.02.17 |
박종천, 안신, <유교와 종교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공저) (0) | 2012.02.17 |
박종천,<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신구문화사, 2008 (0) | 2012.02.17 |
박종천, <고서해제11>, 연세대 국학연구원, 2008(공저) (0) | 201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