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박종천, <역주 시경강의 1-5>, 사암, 2008, 542쪽, 557쪽, 557쪽, 573쪽(공역)
책소개
다산 정약용의 『시경강의』와 『시경강의보유』를 하나로 묶은 것으로, 다산 경학의 방법론이나 논리구조, 지향점 등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특히, 이 책은 특정 유가경전에 대한 다산의 전문적 연구 성과에 접근함으로써 다산 경학의 내부를 파헤치는 성격을 띈다.
정조 15년인 1791년, 당시 30세의 정약용은 정조로부터 『시경』에 관한 800여의 조문을 받았다. 그러나 이 조문은 거유(鉅儒), 숙학(宿學)도 대답할 수 없는 깊은 내용을 담은 것으로 왕이 정해준 40일이라는 기한을 20일 더 연장한 끝에 완성하였고 그것이 바로 『시경강의』다. 또한, 『시경강의보유』는 정조의 조문에 대답한 것으로 조문에 없는 자신의 견해가 밝히지지 않았다 하여 이듬해인 1810년에 시작한다. 다산은 『시경』을 문학작품으로서가 아닌 정치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탕평의 완성과 강력한 군주권 수립을 통한 개혁을 이루고자 했던 정조의 뜻과 일치하였다.
원문과 해석문을 좌우 페이지로 구분하여 대조할 수 있게 한 독특한 편집으로 되어 있어서, 『시경』의 원문과 ‘정조와 다산의 문답’의 깊이 있는 이해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했다. 7년에 걸쳐서 다산의 시경, 상서, 예학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국내 연구자 스물네명이 함께 작업에 참여했고, 총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
박종천
백제의 역사가 감도는 한강과 풍납토성 사이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한국유교와 예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태동고전연구소, 실시학사 경학연구회, 삼례역락 등에서 경학과 예학을 공부했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여러 대학에서 종교학, 동양문화, 문화콘텐츠, 신화,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대해서 강의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하고 한다. 저술로는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제사와 제례문화』 『유교와 종교학』 『한국유학사상사대계-종교사상편』 『역주 국조전례고』 『역주 시경강의』 『정본 주자어류소분』 등이 있으며, 만화평론가로서 『만화, 생사의 미궁을 열다』를 내기도 했다.
목차
1권
해제
시경강의서 詩經講義序
시경강의서문 詩經講義序文
시경강의보유서문 詩經講義補遺序文
총론 總論
소서 小序
육의 六義
국풍 國風
주남 周南 / 주남 1 · 주남 2 · 관저 · 갈담 · 권이 · 규목 · 종사 · 도요 · 토저 · 부이 · 한광 · 여분 · 인지지
소남 召南 / 작소 · 채번 · 초충 · 채빈 · 감당 · 행로 · 고양 · 은기뢰 · 표유매 · 소성 · 강유사 · 야유사균 · 하피농의 · 추우
패풍 / 백주 · 녹의 · 연연 · 일월 · 종풍 · 격고 · 개풍 · 웅치
포유고엽 匏有苦葉 / 곡풍 · 식미 · 모구 · 간혜 · 천수 · 북문 · 북풍
2권
정녀 · ●신대 · 이자승주
용풍 / 백주 · 장유자 · 군자해로 · 상중 · 순지분분 · 정지방중 · 체동 · 상서 · 간모 · 재치
위풍 衛風 / 기욱 · 고반 · 석인 · 맹 · 죽간 · ●환란 · 하광 · 백혜 · 유호 · 목과
왕풍 王風 / 서리 · 군자우역 · 군자양양 · 양지수 · ●중곡유퇴 · 토원 · 갈류 · ●채갈 · 대거 · 구중유마
정풍 鄭風 / 치의 · 장중자 · 숙우전 · 대숙우전 · 청인 · 고구 · 준대로 · 여왈계명 · ●유녀동거 · 산유부소 · ●탁혜 · 교동 · 건상 · ●봉 · 동문지선 · 풍우 · 자금 · 양지수 · 출기동문 · ●야유만초 · 진유
제풍 齊風 / 계명 · 선 · 저 · ●동방지일 · 동방미명 · 남산 · 보전 · ●노령 · ●폐구 · 재구 · 의차
위풍 魏風 / 갈구 · 분저여 · 원유도 · 척호 · 십무지간 · 벌단 · 석서
당풍 唐風 / 실솔 · 산유추 · 양지수 · ●초료 · 주무 · ●체두 · ●고구 · 보우 · 무의 · ●유체지두 · 갈생 · 채령 · 진풍 · 거린 · 사철 · 소융 · 겸가 · ●종남 · 황조 · ●신풍 · 무의 · 위양 · 권여
진풍 陳風 / 완구
3권
동문지분 · 형문 · ●동문지지 · ●동문지양 · 묘문 · ●방유작소 · 월출 · ●주림 · ●택피
회풍 / 고구 · ●소관 · ●습유장초 · 비풍
조풍 / 부유 · 후인 · 시구 · 하천
빈풍 / 칠월 · 치효 · 동산 · 파부 · 벌가 · 구역 · 낭발
소아 小雅
녹명지십 / 녹명 · 사모 · 황황자화 · 상체 · 벌목 · 천보 · 채미 · 출거 · 체두 · ●남해
백화지십 / ●백화 · ●화서 · 어리 · ●유경 · 남유가어 · ●숭구 · 남산유대 · ●유의 · 육소 · 담로
동궁지십 / 동궁 · 청청자아 · 유월 · 채기 · 거공 · 길일 · 홍안 · 정료 · 면수 · 학명
기보지십 / 기보 · 백구 · ●황조 · ●아행기야 · 사간 · 무양 · 절남산 · 정월 · 시월지교 · 우무정 ·
소민지십 / 소민
4권
소완 · 소반 · 교언 · 하인사 · 항백 · ●곡풍 · 육아 · 대동 · 사월
북산지십 / 북산 · ●무장대거 /소명 · 고종 · 초자 · 신남산 · 보전 · 대전 · 첨피락의 · 상상자화
상호지십 / 상호 · 원앙 · 기변 · 거할 · 청승 · 빈지초연 · 어조 · 채숙 · 각궁 · 울류
도인사지십 / 도인사 · 채록 · 서묘 · 습상 · 백화 · 면만 · 호엽 · 삼삼지석 · 초지화 · 하초불황
대아 大雅
문왕지십 / 문왕 · 대명 · 면 · 역박 쭁/ 한록 · 사제 /황의 · 영대 · 하무 · 문왕유성
생민지십 / 생민 · 항위 · 기취
5권
부예 · 가락 · 공류 · ●형작 · 권아 · 민로 · 판
탕지십 / 탕 · 억 · 상유 · 운한 · 숭고 · 증민 · 한혁 · 강한 · 상무 · 첨앙 · 소민
송 頌
주송 周頌
청묘지십 / 청묘 · 유천지명 · ●유청 維淸 · 열문 · 천작 · 호천유성명 · 아장 · 시매 · 집경 · 사문
신공지십 / 신공 · 희희 · 진로 · 풍년 · ●유고 · ●잠 · 옹 · 재견 · 유객 · 무
민여소자지십 / 민여소자 · 방락 · 경지 · 소비 · 재삼 · 양사 · ●사의 · 작 · 환 · 뢰 · 반
노송 魯頌 / 경 · 유필 · 반수 · 비궁 북
상송 商頌 / 나 · 열조 · 현조 · 장발 · 은무 · 일시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종천,<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신구문화사, 2008 (0) | 2012.02.17 |
---|---|
박종천, <고서해제11>, 연세대 국학연구원, 2008(공저) (0) | 2012.02.17 |
박미라, <退溪書分類索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공저) (0) | 2012.02.17 |
박미라, 위앤양, <중국의 종교문화>, 길, 2000(역) (0) | 2012.02.17 |
최유진,<원효사상연구>, 1998, 경남대학교 출판부, 176쪽 (0) | 201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