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용범,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316쪽(공저)

책소개

무구는 무당이 굿을 할 때나 점을 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도구를 일컫는 말로써 무속의례의 각 과정을 진행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신령과 무당, 굿에 참여한 이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맡는다. 다양한 기능과 종류, 의미를 가진 무구는 각 지역 무속의 특색을 담고 있어 전통적인 무속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서는 각 시ㆍ도별로 무업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대표적인 무당을 선정하여 그들이 지닌 무구에 대해 조사하여, 이를 사진과 그림으로 기록하고 각각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 무구》 시리즈 중에서 '서울시/경기도/강원도' 지역 편이다.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서울지역의 무구

Ⅰ. 머리말
1. 서울지역 무속의 특징
2. 조사 개요

Ⅱ. 무구조사
1. 봉화산도당 당주 신위행의 사례
2. 이태원부군당 당주 민명숙의 사례
3. 밤섬부군당 당주 김춘강의 사례
4. 서울새남굿 전수자 이상순의 사례
5. 남이장군당 당주 이명옥의 사례
6. 아기씨당주 김옥렴의 사례
Ⅲ. 서울지역 무구의 특징
1. 서울지역 무구의 특징
2. 무구의 기능과 의미
경기지역의 무구
Ⅰ. 머리말
1. 경기지역 무속의 특징
2. 조사 개요
Ⅱ. 무구조사
1. 거북산당 당주 오수복의 사례
2. 외포리 곶창굿 당주 정정애의 사례
3. 군자봉 당주 김순덕의 사례
4. 양평군 약수사 조병호의 사례
5. 의정부시 최옥순의 사례
6. 성남시 장석만의 사례
Ⅲ. 경기지역 무구의 특징
1. 무구의 특징
2. 형태의 변화
3. 무구의 유입 경로
4. 무구의 기능과 의미
강원지역의 무구
Ⅰ. 머리말
1. 강원지역 무속의 특징
2. 조사 개요
Ⅱ. 무구조사
1. 속초시 빈순애의 사례
2. 삼척시 김동철의 사례
3. 원주시 손음전의 사례
4. 춘천시 김경종의 사례
5. 영월군 고재만 부부의 사례
6. 정선군 조연옥의 사례
Ⅲ. 강원지역 무구의 특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