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식, , 사이언스북스, 2013, 464쪽. 책소개 한 손에는 ‘성경’, 다른 손에는 ‘종의 기원’을 『예수와 다윈의 동행』은 ‘종교와 과학’ 또는 ‘그리스도교와 과학’의 만남의 역사와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둘이 역사 속에서 얼마나 다채롭게 만났는지, 종교 개혁과 과학 혁명을 거치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종교와 과학이 얼마나 깊이 서로 얽히게 되었는지 다루었다. 아울러, 갈릴레오와 뉴턴 같은 과학 영웅들과 다윈의 등장 이래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대응하고 진화하고 있는지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저자소개 저자 : 신재식 저자 신재식은 호남신학대학교 신학과 교수. 서울 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 신학 대학원을 거쳐 미국 드루(DREW) 대학교에서 신학 석사와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신재식, , 동연, 2012, 411쪽. (공저) 책소개 신반포교회 평신도 아카데미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회의 모델을 찾아서』. 이 책은 초대교회에서 보여주었던 이상을 토대로, 평신도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다양한 신학적 주제에 대한 술회를 수록하고 있다. 목차 제 1부 성서와 문화 성서계 만다라 / 유동식 문화시대의 목회적 대응 / 김문환 성서, 어떻게 읽을까 / 민영진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 / 민경식 기독교와 미술 / 이정구 하나님의 멋진 삶의 이야기를 읽으며 사는 길 / 김학철 제 2부 과학과 종교 21세기 과학과 기독교 신앙 / 김용준 창조와 진화 사이에서 / 신재식 오리엔탈리즘과 오리엔탈 르네상스 / 배철현 죽음이란 무엇인가 / 정진홍 제 3부 역사적 예수 연구와 여성신학 역사적 예..
신재식, , 대한기독교서회, 1998, 336쪽. (공저) 목차 감사의 글 서론 제1장 역의 신학:방법론적 시도 제2장 궁극적 실재로서의 易:易 자체로서의 神 제3장 궁극적 실재로서 "이것도 저것도 모두":포괄성으로서의 神 제4장 창조성의 근원인 역:창조자인 신 제5장 역의 완전한 실현:예수 그리스도 제6장 영과 易의 연합:성령과 삼위일체 제7장 역의 신학의 적용 부록 이정용 선생님!정진홍(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이정용 박사의 생애와 신학:그의 종교 연구의 여로 임찬순(Drew Univ. 박사과정) 이정용 박사의 신학 방법론 신재식(호남신학대 조직신학 교수) 이정용 박사의 신론 이세형(협성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옮긴이 후기 역의 신학에 관하여
1. 윤용복, 에 대한 분석과 전망>> 교회사연구(2000), 한국교회사연구소 2. 윤용복, 갱정유도의 역사와 사상 종교연구43(2006), 한국종교학회, p95-117(23쪽) 3. 윤용복, 근대 가톨릭에서의 종교 담론-'가톨릭 청년'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11(2007),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77-103(27쪽) 4. 윤용복, 근대 가톨릭에서의 종교 담론-'가톨릭 청년'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11(2007),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77-103(27쪽) 5. 윤용복, 대순진리회의 조상의례와 특징 종교연구69(2012), 한국종교학회, p149-173 6. 윤용복, 대한성공회의 종교교육 종교문화비평19(2011),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330-359(30쪽) 7. 윤용복, 람모한로이의 종교관- 신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