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용복(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 연구소), ,한국학술정보(주), 2012, 190쪽 (공저) 책소개 『한국 종교의 확산 전략』은 각 종교의 교세 확산 양상과 전략에 대해 발표한 5편의 연구논문들을 엮은 책이다. 대체로 제3자 입장에서 한국 종교의 교세 지속과 확산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형식을 취하며 종교별 교세 지속과 확산 현상, 종교별 확산 방식과 특징, 제반 확산 전략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목차 머리말 한국 개신교의 교세 변화와 전도 방식?고병철 한국 천주교의 선교활동과 방식?윤용복 한국불교계 포교의 목적과 그 전개?차차석 대순진리회의 현재와 미래?차선근 원불교 교화의 양상과 방식?고시용 출판사 서평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와 대순종교문화연구..
1. 이용범, 강신무,세습무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무속학7(2003), 한국무속학회, p9-32 2. 이용범, 개념과 실재: 민간신앙 인식에의 물음 종교문화비평24(2013), 종교문화비평학회, p222-247 3. 이용범, 경기도 남무 무속의 지역적 정체성: 실태 소개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29(2005), 비교민속학회, p151-190 4. 이용범, 경기도당굿의 현재와 미래: 수원지역을 중심으로 수원학연구3(2006), 수원학연구소, p35-48 5. 이용범, 근대의 한국무속 한국무속학11(2006), 한국무속학회, p37-65 6. 이용범, 근대화 과정에서의 무속과 공동체 문화 구비문학연구21(2005), 한국구비문학회, p67-98 7. 이용범, 동막도당굿의 특징-굿의 주체와 진행방식, 종교..
이용범, , 민속원, 2014, 176쪽 (공저) 책소개 「민속학연구소 학술총서」 제9권 『도시마을의 민속문화』. 정형호의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 방법’을 비롯하여, 김정하의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역동성과 진정성’, 이창언의 ‘도시화와 제의 주재집단’ 등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 도시마을은 있는가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 방법∥정형호 1.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 2. 도시마을의 존재 여부와 방식 3. 도시마을 민속의 조사 대상과 분야 4. 도시마을 민속의 연구방법론적 모색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역동성과 진정성∥김정하 1. 서론 2. 근대의 개입과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형성 3.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역동성 4.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진정성 5. 결론 도시화와 제의 주재집단∥이창..
이용범, , 민속원, 2014, 566쪽. (공저) 책소개 『전통과 역사의 마을 조탑』은 총 7부로 구성하여, 마을 개관부터 사회조직, 의례와 세시풍속, 구비전승의 전통, 생업활동과 의식주생활, 권정생과 조탑마을 등을 살펴본다. 목차 1부 마을 개관 마을의 역사와 경관 | 조정현·윤재혁·박경희·신명진 인구와 세대 구성 | 조정현·윤재혁 2부 사회 조직 열린공동체를 지향하는 조탑리의 사회 조직과 사회 생활 | 이상현·김규필 3부 의례와 세시풍속 일생의례의 전통과 변화 | 이용범·원아름·김지선 옛것과 새것의 조화를 통해 재탄생한 마을의 세시풍속 | 이용범·최지호 4부 신앙과 여가 생활 세 마을이 함께 제사를 모시는 당제와 용제 | 이용범·변윤희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주민들의 신앙생활과 그 변화 | 이용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