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민,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8(공저) 저자 류성민 현재 한국종교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신대 신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예일 대학교 대학원과 중국 운남대학교 민족 연구원에서 방문학자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희생제의와 폭력』, 『종교와 인간』 등이 있으며, 『의례의 이해』를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목차 목차 연구개요 I. 머리말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II. 우리나라 종교문제와 종교정책 1. 종교와 종교단체 2. 우리나라의 종교문제 3. 우리나라 종교정책의 전개과정 4. 종교활동과 관련된 우리나라 법률 5. 외국의 종교정책 III. 종교정책에 있어서의 종교재산 및 조세 1. 종교와 종교재산에 관한 이..
강돈구, , 박문사, 2011, 721쪽 책소개 현대적인 의미의 종교학은 제2차 세계대전, 또는 1960년대 이후에 대두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점을 감안할 때 1960년대 말에 이미 우리나라에 현대적인 의미의 종교학이 소개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시기적으로 결코 늦은 것은 아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20여 년 남짓한 기간 동안의 종교학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이다. 물론 이때 한국 종교학은 세계 종교학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다른 나라의 종교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한국 종교학이 그대로 지닐 필요는 없다. 다른 나라의 종교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이 해소되었다고 해서 한국 종교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이 모두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다른 나..
강돈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281쪽, 2010(공저) 책소개 『현대 중국의 한국 종교』는 중국에서 한인들이 많이 모여 있는 다섯 개 지역인 동북삼성(흑룡강성, 길림성, 요령성), 산동성, 북경, 상해를 주목하여 각 지역의 한국종교 현황을 파악한다. 특히 종교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방침을 법 관련 문건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시한다. 이 책에 수록된 종교학자, 종교인들이 전하는 생생한 정보가 중국의 종교현황에 대해 보다 자세히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시작하는 글 동북삼성의 한국종교 ∥ 강돈구 중국 흑룡강성의 한국종교 ∥ 윤용복..
강돈구, 윤용복, , 한국학중앙연구원, 237쪽, 2009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윤용복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서울대.인하대.감신대.동국대 강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역사와 종교』(2004, 공저) 등이 있다. 유기쁨 유기쁨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주요 논문으로 “Lookin for Salvation beyond a Risk-laden Reality: The Religious Nature of Korean Internet Cuture\"(2007), 「생태주의와 종교연구」(2007), 주요 역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