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돈구, 송현주, 윤용복,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239쪽(공저) 책소개 현재 한국사회에서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중등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담고 있다. 미국과 일본 종교교육의 역사와 현실을 참고삼아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양산하고 있는 한국의 종교교육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그 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 보완 방향을 모색하면서 종교교육의 이념과 교육 현장의 문제 등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송현주 서울대 대학원에서 종교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 동덕여대, 동국대 불교 대학원 등에서..
강돈구, 송현주,윤용복, 이욱, 조현범,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07-2010, 166쪽, 232쪽, 173쪽, 212쪽, 224쪽, 291쪽(공저) 책소개 한국 사회에서 어느 정도 교세와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교단이면서도 정작 일반인에게 기원과 역사, 교리, 의례, 조직 등 그 종교적 특성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종교교단에 대해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책이다. 종교를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연구물이 절대 부족한 실정에서 이 책은 한국 종교교단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송현주 서울대 ..
강돈구, 송현주, 윤용복, 이용범,박미라, 이욱, 임현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문화연구소, 529쪽,2006(공저) 책소개 '한국종교학총서' 시리즈, 제2권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 총 16명의 연구원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 따라 한국 종교의 근대적 변동을 탐구한 논문을 수록한 책으로, 서양의 근대성과 한국의 종교의 관계를 구조적인 차원에서 분석하며, 근ㆍ현대 한국인의 종교적 삶이 변화한 과정을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을 통해 파헤치고 있다. 2003년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육성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공동연구의 두 번째 논문집이다.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
강돈구, 이용범, 이진구, 윤용복,,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문화연구소, 2005, 356쪽(공저) 책소개 「한국종교학 총서」 제1권. 이 책에서는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지형의 변동을 연구하였다. 서구 근대성과 한국의 종교 사이에서 벌어진 상호작용을 구조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근ㆍ현대 한국인들의 종교적 삶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을 통해 밝히고 있다.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이진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학위(1988)와 박사학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