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박규태, A Study on Mamoru Oshii : Identity and Border in Japanese Animation
日本思想15(2008),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109-140
2. 박규태, Religion, National Identity, and Shinto
The Review of Korean Studies3 1(2000),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76-92
3. 박규태, 감성적 인식론으로서의 모노노아와레론
에도학 연구의 국제비교(2011), 한양대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p52-74
4. 박규태, 고대 교토의 한반도계 신사와 사원 연구 ─잊혀진 한류의 원점─
비교일본학23(2010),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p151-192
5. 박규태, 고대 오사카의 백제계 신사와 사원연구
종교문화비평20(2011),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83-220
6. 박규태, 교토와 도래인: 하타씨(秦氏)와 신사(神社)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45(2009), 동아시아문화연구소, p247-292
7. 박규태, 국가신도란 무엇인가 -근대일본 국민국가와 종교
종교연구29(2002), 한국종교학회, p229-258(30쪽)
8. 박규태, 근대일본의 탈중화,탈아,아시아주의
오늘의 동양사상(2006), 예문동양사상연구원
9. 박규태, 근세일본의 민중종교사상 -석문심학과 '마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일본사상 창간호,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135-158(24쪽)
10. 박규태, 근세일본의 종교와 문화 - 현세중심적 사유의 정착
종교와문화2(1996),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131-156(26쪽)
11. 박규태, 도고신사와 근대에 있어 군신의 창안
1905년, 동아시아(2005), 동아시아문화학회
12. 박규태, 東アジアにおける近代性の受容とキリスト敎
문명(2003), 일본동해대학 문명연구소
13. 박규태, 동아시아의 종교개념과 리 : 한일비교의 관점에서
아세아연구106(2002), 아세아문제연구소
14. 박규태, 동일성과 차이성의 파라독스 : 타자의 신화학을 위하여
동경대학 종교학연보11(1993), 동경대학 종교학연구실
15. 박규태, 理의 일본적 이해- 理부정을 중심으로
종교학연구16(1997),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37-56(20쪽)
16. 박규태, 모노노아와레․일본문화론․애니메이션 : 덧없음과 체념의 주체성
日本思想17(2009),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165-197
17. 박규태,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고사기 신화 '읽기'와 '노리나가문제'
일본역사연구36(2012), 일본사학회, p27-62
18. 박규태,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모노노아와레론 재고 : 감성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일본연구17(2012),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p299-326
19. 박규태, 바리공주신화와 대국주신 신화의 비교
한양일본학(2004), 한양일본학회
20. 박규태, 스사노오 신화해석의 문제: 한반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종교와 문화19(2010), 종교문제연구소, p29-64
21. 박규태, 신국론과 일본의 종교문화
2005년도 한국종교학회(2005), 한국종교학회
22. 박규태, 신(神)들의 일본 - 잊혀진 신들과 만들어진 신들
종교연구39(2005), 한국종교학회, p261-288
23. 박규태, 신들의 일본: 잊혀진 신들과 만들어진 신
종교, 문화, 사회(2003), 한양대 인문학연구소
24. 박규태, 신들의 고향 이즈모
종교문화비평3(200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99-319(21쪽)
25. 박규태, 신불분리의 종교사적 일고찰 : 신불의 타자론
아세아연구(2003),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6. 박규태, 神神の旅: パリ姬神話と大國主神神話の比較
Folk, Religion, and Travel Culture in Korea and Japan(2003), 한양일본학회
27. 박규태, 신종교와 여성 : 일본 신종교 여성교조의 종교경험과 관련하여
한국종교23(1998),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p301-322
28. 박규태, 신화, 역사, 아이덴티티 : 일본 기기신화의 고층
정신문화연구23 1(2000), 정신문화연구원, p75-93
29. 박규태, 아네사키 마사하루와 종교학 : 근대일본 지식인에게 있어 종교와 국가
동아시아문화연구54(2013),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p97-136
30. 박규태, 안도 쇼에키의 상대주의적 사유
종교와문화4(1998),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81-103(23쪽)
31. 박규태, 安藤昌益과 互性
日本思想史56(2000), 일본 페리칸사, p33-42
32. 박규태, 야스쿠니 신사와 일본의 종교문화
종교문화연구2(2000), 한신인문학연구소, p131-144
33. 박규태, 야스쿠니의 신화: 현대일본의 종교와 정치
종교연구50(2008), 한국종교학회, p39-76
34. 박규태, 엘리 비젤과 '이야기'의 구원론적 의미
문학과종교5(2000), 한국문학과종교학회, p65-91(27쪽)
35. 박규태, 오옴진리교 사건에 비추어본 일본문화와 악의 문제
일본의 언어와 문학6(2000), 단국일본연구학회, p131-152
36. 박규태, 이세신궁 연구: 식년천궁의 종교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일사회문화포럼(2003), 한일사회문화포럼
37. 박규태, 이세신궁과 식년천궁 - 그 종교적 의미를 중심으로
일본학보59(2004), 한국일본학회, p535-550(16쪽)
38. 박규태, 일본 신종교의 신관념- 금광교에 있어 악신의 변형을 중심으로
종교학연구18(1999),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35-51(17쪽)
39. 박규태, 일본 여신신화의 중층구조-아마테라스의 픽션Ⅱ
일본사상10(2006), 한국일본사상학회, p5-37(33쪽)
40. 박규태, 일본 왕권신화와 여신-외부로서의 여신
종교연구45(2006), 한국종교학회, p53-73(21쪽)
41. 박규태, '일본교'와 섹슈얼리티 : 미시마 유키오.천황제.에로티시즘
종교문화비평23(201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47-93
42. 박규태, 일본교와 스피리추얼리티
일본비평5(2011), 서울대학교일본연구소, p126-157
43. 박규태, 일본근세의 신도와 내셔널리즘에 관한 연구 : 야마자키 안사이와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타자이해를 중심으로
종교와 문화5(1999),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p39-59
44. 박규태, 일본근세의 종교와 국가권력 : 도쿠가와 막부의 `사원법도`를 중심으로
유교문화연구(2002),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45. 박규태, 일본문화론의 관점에서 본 한류
역사인식과 미디어(2007), 한양대학교 BK21일본문화연구특성화사업팀, p3-27
46. 박규태, 일본신도에 있어 선악의 문제- 모토오리 노리나가를 중심으로
종교와문화3(1997),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241-262(22쪽)
47. 박규태, 일본신종교와 종말예언- 오옴신리교와 아곤슈를 중심으로
종교와문화8(2002),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225-241(17쪽)
48. 박규태, 일본애니메이션 속의 전쟁표상
일본학연구(日本學硏究)(2010),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p43-63
49. 박규태, 일본의 문화콘텐츠와 종교 ― 미야자키 하야오를 중심으로 ―
종교연구44(2006), 한국종교학회, p27-48
50. 박규태, 일본의 민중신앙과 아마테라스의 변용: 구로즈미교의 경우를 중심으로
일본사상4(2002), 한국일본사상회, p35-57(23쪽)
51. 박규태, 일본의 샤머니즘 개념형성과 전개
샤머니즘연구5(2003), 한국샤머니즘학회, p33-55(23쪽)
52. 박규태, 일본의 종교와 종교정책
종교연구46(2007), 한국종교학회, p135-168(34쪽)
53. 박규태, 일본의 현대종교에 관한 몇가지 쟁점
신종교연구3(2000), 한국신종교학회, p29-58(30쪽)
54. 박규태, 일본의 현대종교와 미국
일본비평1(2009), 서울대학교일본연구소
55. 박규태, 일본인의 생명관-계보적 일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45(2010),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p77-118(42쪽)
56. 박규태, 일본종교의 현세중심적 에토스 -막말기 신종교를 중심으로
종교학연구15(1996),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7-42(26쪽)
57. 박규태, 일본종교학의 전개와 특징
종교연구48(2007), 한국종교학회, p99-136(38쪽)
58. 박규태, 저패니메이션과 종교:풍경·아이덴티티·스피리츄얼리티
동양학43(2008), 동양학연구소, p285-304
59. 박규태, 종교와 문학 : 엘리 비젤 문학에 나타난 <이야기>의 구원론적 의미
종교학연구7(1988), 서울대 종교학연구회
60. 박규태, 종교와 사상을 창구로 한 문화사의 기술
일본사상(2004), 한국일본사상사학회
61. 박규태, 클림트, 의 구원 -에로티시즘, 죽음, 모노노아와레
종교문화비평16(2009),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60-274(15쪽)
62. 박규태, '틈새'의 종교학과 상상의 시학 : 소전학에 있어 종교, 문학, 예술
종교문화비평24(201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75-105
63, 박규태, 하늘, 이단, 지도의 앎: 한국의 자생적 근대성과 종교
동아시아 유교와 근대의 앎(2003),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국제동아시아 사상연구회
64. 박규태, 한국의 자생적 근대성과 종교
종교연구35(2004), 한국종교학회, p117-138
65. 박규태, 한국 신종교의 이상적 인간상
종교와 문화7(2001),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p265-279
66. 박규태, 한류담론과 일본문화
日本學硏究(2008), 일본연구소, p39-66
67. 박규태,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의 종교와 폭력 : 오옴진리교와 '가상의 현실화'
종교와 문화6(2000),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p131-156
68. 박규태, 현대 일본의 회사종교
일본사상20(2011),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25- 49(25쪽)
69. 박규태, 현대일본종교와 ‘마음’(心)의 문제-‘고코로나오시’와 심리통어기법에서 마인드컨트롤까지-
신종교연구27(2012), 한국신종교학회, p239-268
70. 박규태, 혼돈의 힘 - 소외신화, 우로보로스, 치유
대순사상논총16(2003), 대진대학교 대진학술원, p45-67(23쪽)
71. 박규태, 후지신앙과 여신-고노하나노사쿠야히메·센겐신사·후지강
일본사상12(2007),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27-54(28쪽)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석만, <한국의 나무꼭두: 또 다른 여행길의 동반자>, 옥랑문화재단, 2007 (편) (0) | 2014.07.30 |
---|---|
신광철 (0) | 2014.07.30 |
박규태, <현대일본의 전통문화>, 박문사, 2012 (공저) (0) | 2014.07.29 |
박규태, <남녀 신들이 인간 세상을 노래하다>, 웅진씽크빅, 2010 (0) | 2014.07.29 |
박규태, 토맘스 카힐, <미래는 내가 선택한다>, 솔, 2001 (0) | 201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