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류성민, [특집: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필요성과 현실
종교문화연구20(2013), 종교와문화연구소, p1-34
2. 류성민, ‘기독교대한감리회’의 특징과 역사적 전개
종교연구58(2010), 한국종교학회, p219-274
3. 류성민, 『포박자-내편』과『신선전』에 나타난 초기 도교의 도와 윤리의 관계-종교윤리학적고찰
종교연구63(2011), 한국종교학회, p143-174(32쪽)
4. 류성민, 21세기 종교환경의 변화 및 사회문화적 역할 제고 방안
연구보고서(1998), 한국종교학회, p81-159
5. 류성민, Coexistence and Conflict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Modern Korea: Concentration in its Geographical Background and Actuality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12(2009),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소, p107-120
6. 류성민, Max Mueller의 종교연구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의 종교연구 현실 평가 및 방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55(2009), 한국종교학회, p1-33
7. 류성민, 가치있는 삶을 위하여
국은광장(1995), 국민은행, p4-5
8. 류성민, 간디의 사타그라하와 사회변혁
씨알의 소리117(1990), 씨알의 소리, p52-60
9. 류성민, 경기지역 종교문화의 현황
종교연구28(2002), 한국종교학회, p69-102(34쪽)
10. 류성민, 경기 지역 종교문화 지형 연구
단행본(교내 연구소 연구비 결과보고서)(2002), 한신인문학연구소, p1-95
11. 류성민, 古代 이스라엘 犧牲祭儀의 社會倫理的 意味
종교학연구9(1990),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84-206
12. 류성민,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과 개신교 학교의‘종교교육’: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문제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51(2012), 원불교사상연구원, p171-212
13. 류성민, 남북한 사회문화교류에 관한 연구: 종교교류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93 5(1994), 현대사회연구소, p1-80
14. 류성민, 남북한 종교의 갈등과 해소 방안
통일대비 남북한 청소년 민주시민 교육에 관한 연구보고서(1996), 사단법인 생활철학연구소, p147-149
15. 류성민, 다종교사회에서의 종교간 화합방안
단행본(2000), 한국문화정책개발원, p1-186
16. 류성민, 대북 종교정책의 현황과 방향
대북 종교정책의 현황과 방향-종교분과위원회 제42차 회의자료(1999),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p1-35
17. 류성민, 마하트마 간디의 생애와 사상
인물로 보는 기독교사상(1994), 서울 YMCA, p146-153
18. 류성민, 북한에서의 종교에 대한 이해-조선대백과사전을 중심으로
종교연구42(2006), 한국종교학회, p67-101(35쪽)
19. 류성민, 북한 주민의 종교에 대한 인식과 종교현황
통일논총16(1998), 숙명여자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p17-31
20. 류성민, 북한교회와 남북 기독교 교류
한국기독교와 역사4(199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p104-126
21. 류성민, 북한기독교의 역사와 현실-`인민의 아편`에서 `조선의 하나님`으로
북한선교 세미나-북한선교 어떻게!!(1996), 한경직목사 기념사업회, p4-27
22. 류성민, 북한종교 정책과 현황
圓光250(1995), 월간 원광사, p84-88
23. 류성민, 성직자 지원의 현황과 전망
원광대학교 학술총서3(1995), 원광대학교, p16-33
24. 류성민, 성직자 지원의 현황과 전망
학술총서4(1997), 영산원불교대학 출판부, p16-33
25. 류성민, 세계 종교학계의 동향 분석과 한국에서의 발전적 수용방안 연구
종교연구18(1999), 한국종교학회, p249-292
26. 류성민, 世俗化와 道德性-현대사회에서의 종교적 정황을 중심으로-
종교학연구5(1985),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87-210
27. 류성민, 우리 나라 종교정책에 관한 연구
정책과제 97-17(1997), 한국문화정책개발원, p1-294
28. 류성민, 우리 나라 종교정책에 관한 연구
정책과제 97-17(1998), 한국문화정책개발원, p82-129
29. 류성민, 이슬람, 편견을 넘어 ``다시보기``(서평)
진보평론272006(2009), 진보평론 편집위, p266-273
30. 류성민, 일제강점기의 한국종교와 민족주의:일제의 식민지 종교 정책에 대한 한국 종교들의 대응을 중심으로
제6회 한일종교연구자 교류 심포지움-(근대)동아시아에 있어서의 "민족"과 종교(1998), 立正교成會法輪閣, 日70~81,韓47-59
31. 류성민, 종교다원주의에서의 종교윤리 : 뇌사와 안락사를 중심으로
미래사회와 종교(2000), 원광대학교, p233-248
32. 류성민, 종교다원주의와 종교윤리
종교다원주의와 종교윤리1(1994),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99-119
33. 류성민, 종교와 도덕의 관계-종교윤리학 방법론의 기초
종교연구24(2001), 한국종교학회, p111-139(29쪽)
34. 류성민, 종교와 상징
종교와 상징-삶의 의미를 찾아서7(1992),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p80-86
35. 류성민, 종교적 비폭력 사상에 대한 연구-M. K. Gandhi Ahinsa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1982), 서울대학교 대학원, p1-72
36. 류섬민, 종교적 질병 치유의 사회 문화적 의미-한국종교의 치병 의례를 중심으로
종교연구35(2004), 한국종교학회, p1-30(30쪽)
37. 류성민, 종교학 방법론 소고-한국적 정황을 중심으로
종교학연구13(1994),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85-103(19쪽)
38. 류성민, 주체사상과 종교
종교연구32(2003), p27-54(28쪽)
39. 류성민, 중고등학교 종교교육의 현실과 개선방향
연구보고서94 3(1994), 현대사회연구소, p1-135
40. 류성민, 중국 윈난성의 종교 공존 상황에 대한 연구-역사적 배경과 현실 및 중국의
종교정책을 중심으로
종교연구60(2010), 한국종교학회, p149-193(45쪽)
41. 류성민, 참여만이 참된 지방화 시대를 엽니다-주민의 지방자치 참여, 교회의 지역사회 참여-
한국기독교장로회회보362(1995), 한국기독교장로회, p32-35
42. 류성민, 최근 북한의 종교정책과 남한 종교인들의 대북 활동
종교문화연구1(1999), 한신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p7-33
43. 류성민, 追慕慰靈の의 雙曲線: 韓國の宗敎의례と國家儀禮を中心に
현대종교(2006), 국제종교연구소, p34-49
44. 류성민, 통일관련 중등교과서 검초 및 편수자료
통일대비 남북한 청소년 민주시민 교육에 관한 연구보고서(1996), 사단법인 생활철학연구소, p98-124
45. 류성민, 통일을 위한 희년의 삶
월간 목회와 신학70(1995), 두란노서원, p178-181
46. 류성민, 한·미·일 삼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비교
종교교육학연구26(2008), 한국종교교육학회, p165-194
47. 류성민, 한국 개신교 신생교단의 성립과 사상
한국종교23(1998),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213-244
48. 류성민, 한국 개신교 의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종교문화연구2(2000), 한신인문학연구소, p165-195
49. 류성민, 한국 기독교 의례에 대한 역사적 고찰
종교연구16(1998), 한국종교학회, p109-139
50. 류성민, 한국 의례문화의 구조와 역사
한국인의 의식과 예절문화(연구보고서)(1998),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1. 류성민, 한국 의례문화의 이해와 평가
단행본(2000),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1-222
52. 류성민, 한국 종교문화의 현황과 특징
종교문화연구3(2001), 한신인문학연구소, p61-108
53. 류성민, 한국종교인구 분포 비율의 변화와 그 특징 ―1985년, 1995년, 2005년의 인구센서스를 중심으로―
종교연구56(2009), 한국종교학회,p25-66(42쪽)
54. 류성민, 한국 종교출판의 구조와 특성
출판연구10(1998), 한국출판연구소, p109-121
55. 류성민, 한국 종교학계에서의 동아시아 연구 및 학술교류
종교연구71(2013), 한국종교학회, p53-95
56. 류성민, 한국 종교학의 전환점-위기와 기회
현상과 인식 제19권 2호(1995), 한국인문사회과학원, p103-120
57. 류성민, 한국 종교학의 회고와 과제
한신논문집 제14집(1997), 한신대학교, p369-420
58. 류성민, 한국 중고등학교 기독교 교육의 현황과 전망
한국에 기독교문화는 있는가8(2005), 한국문화신학회, p107-130
59. 류성민, 한국근대종교와 민족주의-민족을 위한 종교
신학연구34 (1993), 한신대학교, p209-214
60. 류성민,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신학과 의례
종교연구73(2013), 한국종교학회, p93-143
61. 류성민, 한국의례문화연구사 및 연구방법
한국인의 의식과 예절문화(연구보고서)(1997),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2. 류성민, 한국인의 삶의 질과 종교문화
단행본(2000), 한신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p1-202
63, 류성민, 한신대학교 학생들의 종교의식과 종교생활
학생생활연구3(1996), 한신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p30-64
64. 류성민, 한중일 삼국의 종교정책 비교
종교연구46(2007), 한국종교학회, p35-75(41쪽)
65. 류성민, 해방 후 북한 교회와 남북 기독교 교류
한국 기독교와 역사(199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p104-126
66. 류성민, 해외 각국의 종교현황과 제도 연구
단행본(2000), 문화광광부/한국문화정책개발원, p1-392
67. 류성민, 현대 한국 기독교의 죽음관
전주사학7(1999),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p129-159
68. 류성민, 犧牲祭儀와 暴力의 宗敎倫理的 意味에 대한 硏究-聖書宗敎 傳統을 中心으로-
박사학위논문(1999), 서울대학교 대학원, p1-171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승환, <EU 보조금 규칙 및 상계관세사례연구>, 경희대학교출판국, 2004 (0) | 2014.07.31 |
---|---|
최승환 (0) | 2014.07.31 |
류성민, 요안 V.본두란트 <간디의 철학과 사상>, 현대사상사, 1990 (역) (0) | 2014.07.31 |
류성민, 류정인, 초요휘, <중국 운남 기독교사>, 한신대학교 출판부, 2012 (역) (0) | 2014.07.31 |
최승환, <국제거래법>, 법영사, 2014 (2006)(1998) (편) (0) | 201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