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석만, ‘종교’를 묻는 까닭과 그 질문의 역사: 그들의 물음은 우리에게 어떤 문제를 던지는가? 종교문화비평22(2012), 한신인문학연구소, p15-50 2. 장석만,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중일 삼국의 정교분리 담론 역사와 현실4(1990), 한국역사연구회 3. 장석만, 3.1 운동에서 종교는 무엇인가 1919년 3월 1일에 묻다(2009),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189-212 4. 장석만, 9.11 참사와 이슬람 '원리주의'를 보는 눈 사회비평 겨울호(2001), 나남출판사 5. 장석만, Protestanism in the Name of Modern Civilization Korea Journal39 4(1999),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p..
장석만, , 반비, 2013, 287쪽. (공저) 책 소개 인문학의 정체는 도대체 무엇이며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인문학은 어떤 것인가? 나아가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인문학은 무엇인가? 이 책은 지금 여기의 인문학을 총점검하기 위한 25가지 질문에 답하는 22인의 인문학자들이 치열한 고민을 담은 책이다. 1장 「스티브 잡스는 인문학적 CEO인가」는 잡스로부터 비롯한 ‘인문학이라는 이 새로운 물신’을 폭로하고 비판한다. 2장 「안철수는 인문학적 정치인인가」는 언젠가 ‘제가 인문학은 아는데 정치는 잘 모른다.’고 말했던 안철수 현상의 신선함을 그의 인문 성향에서 발견하고 실체를 분석한다. 3장 「프랑스 철학은 왜 포퓰리즘이라는 의심을 받는가」는 20년 이상 우리 지성계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온 현대 프랑스..
장석만(옥랑문화재단), , 옥랑문화재단, 2007, 231쪽. (편) 책소개 미국순회전시에 맞춰 펴낸 나무꼭두에 관한 도록. 옥랑문화재단과 동숭아트센터가 사진작가 구본창과 함께 한국의 나무꼭두를 다룬 두 번째 도록이다. 옥랑문화재단이 지난 30여 년 동안 수집해 온 약 2만점의 소장품 가운데 150여 점의 나무꼭두를 엄선하였다. 10개월에 걸친 작업을 통해 한국의 나무꼭두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잘 살려내었다. [양장본] 목차 1. 머리말 2. 축하의 글 에반스.J.R.리비어(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 김명곤(전 문화관광부 장관) 김홍남(국립중앙박물관장) 신광섭(국립민속박물관장) 3. 에세이1 - 나무꼭두와의 만남, 그 후의 나의 삶(김옥랑) 4. 섹션1 - 안내하기(THE GUIDE) 5. 섹션2 - 호위하..
1. 신광철, "동학의 신관에 관한 문제"(이찬구)에 대한 논평 종교문화연구4(2002), 한신인문학연구소, p161-163 2. 신광철, "한국교회사 이해에 관한 해석학적 제안"에 대한 논평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식47(2001),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p21-22 3. 신광철,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사회인식"에 대한 논찬 한국기독교와 역사15(2001), 한국기독교역사학회, p112-115 4. 신광철, (특집: 종교와 경관) 종교경관의 의의와 활용방안 종교문화연구18(2012), 종교와문화연구소, p83-105 5. 신광철, [연구논문] 기독교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과 방법 종교문화연구20(2013), 종교와문화연구소, p217-242 6. 신광철, ‘Korea : the Hermit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