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필호, 맹자의 성선설과 서양철학 철학52(1997), 한국철학회 2. 황필호, 맹자의 성선설과 서양철학 철학52(1997), 한국철학회 3. 황필호, 장자와 로티의 잘못된 만남 철학(1996), 한국철학회 4. 황필호, 자연주의적 유신론 철학연구39(1996), 철학연구회, p262-314(23쪽) 5. 황필호, Conversion vs. Addversion 크리스찬 아카데미 발표(1995), 크리스찬 아카데미 6. 황필호, Confucius on the Rit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Unity of Science(1986), IRF 7. 황필호, Religions in Korea Youth Semminar on World Religions(1985), IR..
1. 강돈구, 구세군의 역사와 정체성 종교연구57(2009), 한국종교학회, p1-29(29쪽) 2. 강돈구, 근대 한국 신종교의 민족 개념 종교문화비평6(2004),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20-148(29쪽) 3. 강돈구, 기독교의 전래와 서양철학의 수용 철학사상4(1994),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p197-239(43쪽) 4.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연구62(2011), 한국종교학회, p237-263(27쪽) 5. 강돈구, 동아시아의 종교와 민족주의 종교연구22(2000), 한국종교학회, p15-33(19쪽) 6. 강돈구, 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회의 특징과 전개 종교연구39(2005), 한국종교학회, p213-242(30쪽) 7. 강돈구, 美軍政의 宗敎政策 종교학연구12(1993), ..
강돈구, , 문화관광부, 2005, 168쪽. (공저)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목적과 범위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범위와 방법 = 5 Ⅱ. 한국 종교교육의 역사와 현황 = 7 1. 한국 종교교육의 역사 = 7 2. 종립학교의 종교교육 현황 = 24 1) 종립 중등학교의 현황 = 24 2) 중등 종립학교의 종교 과목 개설 현황 = 26 3) 정규 종교 수업 시간 이외의 종교교육 현황 = 29 4) 학교 내 종교 관련 동아리 현황 = 31 Ⅲ. 종립학교 종교교육의 실태 조사 = 34 1. 설문 조사 내용과 대상 분석 = 34 2. 종교 교과의 실태 = 36 3. 종교 수업의 실태 = 39 4. 과외 활동의 실태 = 49 5. 종교교육의 실태와 종교교사의 문제 = 54 1) 종교교사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