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신, 한국여성신학회 엮음, , 프리칭아카데미, 2010, 296쪽.(공저) 저자소개 이영미, 김성희, 윤소정, 서현선, 안신, 장윤재, 유연희, 조지윤 책소개 19세기 말 피선교국이었던 한국은 오늘날 세계 최대의 개신교 선교국 중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선교의 구체적인 전략, 전술과 관련해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다른 하족에서는 한국교회의 공격적인 선교방법에 대한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 또한 높다. 만일 '선교'를 교회의 행위 전체와 그 행위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라고 본다면, 선교야말로 오늘날 한국 교회의 빛과 그늘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교회 여성들 역시 이러한 한국교회의 빛과 그늘을 그대로 공유하고 있다. 이 책은 선교에 관한 그동안의 비판적인 논의를 전제..
1. 안신, 종교복지실천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캔다(E. Canda)와 데레조테(D. Derezotes)의 중심으로- 종교연구73(2013), 한국종교학회, p329-355 2. 안신, 종교적 인간 안중근의 오토피아론-종교사회학적 해석 사회과학연구35(2013), 배재대 사회과학연구소, p121-140 3. 안신, 종교의 지구적 지역화에 대한 연구: 한국천주교와 인천 답동성당의 사례 인문논총30(2013), 배재대 인문과학연구소, p39-68 4. 안신, 소전의 반 델 레에우 이해의 특징과 한계 종교문화비평24(2013), 한국종교문화비평학회, p273-307 5. 안신, 영국 종교교육의 특징과 한계 종교문화연구20(2013),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p71-102 6. 안신, 한국 이슬람 문화콘텐..
1.구형찬, 종교연구에서 ‘유형론’과 ‘형태론’: 그 전략적 구분의 가능성과 의의 종교학연구23(2004), 한국종교학연구회, p47-83(37쪽) 2.구형찬, 재앙의 고통을 바라보는 자의 예의 (특집: 쓰나미 참사, 그때 신은 어디에 있었는가) 공동선61(2005), 도서출판 공동선 3.구형찬, 불 다루기와 시간 다루기 (불과 민속) 방재와 보험107(2005), 한국화재보험협회 4.구형찬, 다시 상상하는 마나: 그 역학(力學)과 역학(疫學) 종교문화비평9(2006),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9-53(25쪽) 5.구형찬, '인간학적 종교연구 2.0'을 위한 시론 : '표상역학'의 인간학적 자연주의를 참고하며 종교문화비평15(2009),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253-291(39쪽) 6.구형찬, [서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