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최유진, 元曉의 一心思想. 碩士學位論文(1980), 서울대 대학원, p1-61(62쪽) 2.최유진, 中觀哲學의 二諦說 硏究. 哲學論究9(1981), 서울대 철학과, p113-124(12쪽) 3.최유진, 吉藏의 二諦說. 철학논집1(1984), 경남대철학과, p93-121(29쪽) 4.최유진, 元曉의 화쟁사상. 철학논집2(1985), 경남대철학과, p21-41(21쪽) 5.최유진, 元曉에있어서 和諍과 언어의 문제. 철학논집3(1987), 경남대철학과, p29-49(21쪽) 6.최유진, 元曉의-心-和諍과의 연관을 중심으로. 철학논집4(1988), 경남대철학과, p23-53(31쪽) 7.최유진, 元韓龍雲의 佛敎思想. 加羅文化6(1988), 경남대 가라문화연구소, p107-132(26쪽) 8.최유진, 元曉의 ..
최유진(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예문서원, 1995, 472쪽. (공저) 책소개 사상과 시대, 그리고 논쟁별로 한국 철학을 소개하며 최근의 철학 경향까지 다루어 완결된 한국철학사를 구성하려한 책이다. 특히 시대 구분이나 보는 관점이 기존의 틀을 탈피함으로써 철학사적인 분단시대를 극복하려고 하였으며, 정치나 경제 시회적인 연관 속에서 철학의 기능을 살펴보고 있다. 근대까지만 다루었던 기존의 철학사들과 달리 서양철학이 본격유입된 후 전통철학이 변형 해체되었던 근대 이후 현대까지의 지각변동시기는 언급하지 않는 맹점이 있었기에 이를 극복해보고자 하는 시도들이 엿보인다. 이 책의 특징을 크게 5가지로 정리해보면, 첫째로는 한국 철학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단순한 철학사 서술만으로 그치지 않고 [사상..
데이비드 J. 칼루파하나, 최유진 역, , 天池, 1992 책 소개현재 불교의 역사는 2,500년이 넘는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영원하지 못하다"는 불교의 말 그대로 싯다르타의 가르침도 변화를 겪었다. 이것은 지구의 주요 지역으로 퍼져나간 그의 수많은 추종자의 욕구와 종교적인 열망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변화 과정에서 불교는 접촉했던 다양한 종교와 철학의 전통에 많은 기여를 하면서도 불교 자체도 이 비불교적 교의에서 많은 것을 흡수하였다. 바로 이 점 때문에 불교철학을 완벽하게 요약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불교 원본의 핵심에 대해 오랫동안 논쟁이 있어왔으며, 사람들은 그것을 정립하려는 시도를 무의미하다고 간주했다. 이러한 의견 가운데서『붓다는 무엇을 말했나』는 초기 불교의 철학적..
1.박종천, 仁祖代 典禮論諍(1623-1635)에 대한 종교학적 재평가 종교학연구17(1998),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45-166(22쪽) 2.박종천, 斥邪綸音 硏究 종교학연구18(1999),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25-150(26쪽) 3.박종천, 조선시대 典禮論諍에 대한 재평가-入承大統의 전례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11(2001), 한국사상문화학회, p85-128(44쪽) 4.박종천, 에 나타난 茶山 丁若鏞의 禮論 한국사상사학16(2001), 한국사상사학회, p117-158(42쪽) 5.박종천, 종교에 대한 인간주의적 접근과 종교학적 환원-Daniel L.pals의논의를 중심으로 종교와문화9(2003),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209-227(19쪽) 6.박종천, (특집-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