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찬, 심형준, , 민속원, 2010, 324쪽. (공저) 책소개 '무당들의 반란'이라고 불리는 '차충걸 사건'에 대해 소개하는 『국역 차충걸추안』.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제104책에 실린 '차충걸추안'을 국역했다. '차충걸추안'은 1691년 숭족 17년 황해도에서 일어난 무격의 담론과 실천에 동조한 양인의 삶의 현실과 희망을 잘 보여주는 사례인 '차충걸 사건'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도참을 믿고 생불을 대망한 죄인들의 심문은 물론, 처결에 대해서 다룬다. 저자소개 저자 최종성, 조남욱, 구형찬, 심형준, 박병도, 정재홍 목차 머리말 / 해제 찾아보기 / 영인본 1. 신미년 11월 14일 황해감사가 차충걸 사건에 관한 장계를 보내오다. 2. 신미년 11월 17일 조이달과 김성건의 구금을 알리는 장..
구형찬, 심형준, , 민속원, 2010, 592쪽. (공저) 책 소개 중, 풍수가, 무당들이 주모한 반란의 심문 기록『국역 역적여환등추안』. 역모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중 여환,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여환의 처인 무당 원향, 실질적인 조직을 구성하고 관리했던 풍수가인 황회 등 역적여환등추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는 책으로, 점증하고 있는 여환의 옥사에 대한 정치사회적인 논의들을 정돈하고, 민중종교결사에 대한 종교사적인 탐색을 새롭게 시도하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최종성, 구형찬, 심형준, 윤조철, 정재홍, 박병도 목차 머리말 해제 찾아보기 영인본 1. 무진년 7월 27일 대신과 의금부당상을 불러 모으다. 2. 무진년 7월 28일 추국을 열다. 3. 무진년 7월 29일 양주목에서 나래한 죄인 14명을..
1. 박상언, 몸, 죽음,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타계관 종교연구16(1998), p275-298 2. 박상언, 종교와 몸, 그리고 의례 한국종교사연구9(2001), 한국종교사학회, p287-314 3. 박상언, 치유의 신을 향한 몸짓 종교문화연구3(2001), 한신대학교 한신인문학연구소, p253-280 4. 박상언, 단학선원의 치유의례 종교연구28(2002), 한국종교학회, p242-272 5. 박상언, 삶과 죽음의 공존: 증산도의 죽음이해 청계논총4(200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p59-82 6. 박상언,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춤추는 몸-장기이식과 인간복제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5(2004), 한국종교문화연구소 7. 박상언, 과학 시대에 치유의 신을 찾아서 한국종교연구6(2004), 서강..
1.김윤성, 함경도 지역교회사 한국기독교와 역사3(1994), 한국기독교역사학회, p29-45(17쪽) 2.김윤성, 우리 몸에 새겨진 '근대'의 흔적 상상8(1995), 상상사, p319-333(15쪽) 3.김윤성, 근대성, 탈근대성, 종교 로고스27(1995), 장로회신학대학 신학대학원, p156-194(39쪽) 4.김윤성, 선교사와 한국 전통치유체계: 민간신앙과 한의학에 대한 그들의 비판 메커니즘 한국보건사학회지3 1(1995), 한국보건사학회, p17-30(14쪽) 5.김윤성, 구성신학의 두 모델 종교학연구15(1996),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85-204(20쪽) 6.김윤성, 서구 성(性) 이론의 궤적: 프로이트, 라이히/마르쿠제, 푸코, 기든스 한국학대학원논문집12(1997), 한국정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