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광철, , 다할미디어, 2006, 339쪽(공저) 책소개 인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위하여 미디어문화교육연구회와 인문콘텐츠학회가 공동으로 기획,집필한 문화콘텐츠 신서 7호. 이 책의 서문은 매우 도발적인 질문으로 시작된다. 아울러 인문학자들의 반성을 촉구한다. “우리 인문학자들은 무엇을 해왔던가? 사과나무 아래에서 사과가 떨어지기만을 기다리지 않았는지 자성해 보자. 학연으로 가르고 편을 짜고 칸막이로 막고, 그렇게 학문을 빙자한 정치를 펼치지는 않았는지 묻는다. 혹자는 정부로부터 인문학의 지원이 부족해서라고 말한다. 그렇게 말할 여지는 있지만 꼭 그것만은 아니다. 지원의 방법이나 결과가 어쨌든 인문학에 대한 지원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인문학 지원 프로그램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
신광철, , 북코리아, 2006, 402쪽(공저) 책소개 국내 문화콘텐츠 관련 분야의 전문가 27인이 문화콘텐츠라는 연구주제를 가지고 쓴 책. 인문콘텐츠학회(회장. 김기덕)에서 가칭 '문화콘텐츠학'을 발전시켜나가는 발판이자 문화콘텐츠 안내서로 발간하였다. 저자 신광철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박사논문은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상호관계 및 이해에 대한 연구」이다. 한신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신대학교 중국문화정보학부에서 한중 문화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종교학과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학 및 교육론, 한류와 문화 콘텐츠, 영화 콘텐츠, 만화 애니메이션과 신화, 박물관 및 테마파크 전시 등이다. 목차 I. 총론 : 문화ㆍ콘텐츠ㆍ인..
신광철, , 한국종교사학회, 원광대학교 출판국, 2003, 318쪽(공저) 비매품 저자 신광철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박사논문은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상호관계 및 이해에 대한 연구」이다. 한신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신대학교 중국문화정보학부에서 한중 문화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종교학과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학 및 교육론, 한류와 문화 콘텐츠, 영화 콘텐츠, 만화 애니메이션과 신화, 박물관 및 테마파크 전시 등이다. 목차 1. 포광 김영수 박사의 학문과 사상 , 류기현 (종교사학회 명예회장) 2. 조윤제의 한국문학 연구 , 박영호 3. 이능화의 종교사학 연구, 박도광 4. 백남운의 경제사회사 연구, 이준식 5. 최병헌의 ..
신광철, , 경기문화재단, 2004, 251쪽(공저) 비매품 경기문화제단, 인문콘텐츠학회 공동 "효 문화 콘텐츠 구축과 개발" 심포지엄 목차 1. 효의 사회문화적 합의, 조관연 2. 경기도 효문화 원형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 김영애 3. 효 문화 관련 영화의 분석 전망, 신광철 4. 애니메이션 세계에 나타난 효사상과 대안제시, 전윤경 5. 효 문화 관련 교육콘텐츠의 분석 및 기획, 고기정 6. 경기도 효 프로젝트의 전개와 전망, 윤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