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주,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356쪽(공저) 책소개 「한국종교학 총서」 제1권. 이 책에서는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지형의 변동을 연구하였다. 서구 근대성과 한국의 종교 사이에서 벌어진 상호작용을 구조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근ㆍ현대 한국인들의 종교적 삶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을 통해 밝히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사회의 근대성 형성 1.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이욱 2. 한국 근대 초기 음양 이중력의 형성과 의미/임현수 3. 구한말 미 개신교 선교사들의 對韓 인식/이상훈 제2장 근대적 종교공동체의 탄생 1. 천도교 개신기 '종교'로서의 자기 인식/고건호 2. 이병헌의 孔敎운동에 나타난 神道論 연구/박미라 제3장 정교분리 담론과 민족의 개념 1...
송현주,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3, 278쪽(공저) 책소개 근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문화에 있어 종교적 가치관의 갈등이 지니는 문제를 파악 ·분석한 책. 다종교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대두되는 종교간의 긴장과 갈등, 알력과 반목을 창조적으로 극복하고 조화를 이루어 21세기의 공존적인 한국사회의 문화와 가치관을 모색했다. 저자 송현주 서울대 대학원에서 종교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 동덕여대, 동국대 불교 대학원 등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서울대 인문대학 부설 종교문제연구소 특별연구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미국 UCLA에서 교환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세계 종교사 입문』『열려라 신화』 등이 있다. 목차 서 론 : 한국문화와 종교적 다양성 제1장 한국종교사 : 갈등에서 공존으로 - 강돈구 제2장..
송현주, 스티브 헤이근, , 이론과 실천, 2001, 272쪽(역) 책소개 『아하 붓다』시리즈는 어려운 불교 경전이 아닌, 가장 기초적이며 불교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불교 입문서이다. 붓다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가르침으로 여겨지는 사성제의 원리로부터 시작하여 중도의 여덟 가지 범주인 팔정도, 연기설, 오온, 업, 윤회, 무아 등의 기본적인 교의들과 올바른 명상법을 배울 수 있으며, 나아가 더 심오한 불교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스티브 헤이근 선 승려로서 오랫동안 불교를 가르쳐 왔다. 그는 카타기리 선사의 제자이며, 1979년에 선승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후 아시아와 유럽에서 많은 스승들과 공부하였고, 1989년 카타기리 선사로부터 법을 계승하였다. 저자는 현재 미국 미니애폴리스에서 생..
송현주, , 웅진닷컴, 1995, 194쪽 책소개 세계 여러나라들은 그들만의 고유한 신화를 가지고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 중국, 메소포타미아, 인도, 이집트, 북유럽의 신화를 통해 상상력을 키우고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용기와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책이다. 저자 송현주 순천향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미국 UCLA 교환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는 (2006, 공저), (2003, 공저) 등이 있다. 목차 읽기 전에 우주와 생명을 창조한 반고와 여와 길가메시와 엔키두의 우정과 모험 인드라 신과 개미들의 행진 죽음 후에 부활한 심판의 신 오시리스 사계절을 만든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고난을 이겨 낸 에로스와 프시케의 사랑 저주받은 반지와 지구르트의 모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