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정진홍, 20세기의 종교: 초월의 몰락과 확산
철학과 현실42(1999), 철학문화연구소, p75-94
2. 정진홍, A Bibliographical Essay on the Growth of Korean Protestantism
宗敎硏究4(1988), 한국종교학회, p113-160(48쪽)
3. 정진홍, A Study of Feminine Symbolism in Korean Myth
Samguk Yusa, Korean Women and Culture(1998), 숙명여대 아시아 여성 연구소, p1-23
4. 정진홍, Mircea Eliade: 기호인가, 상징인가
종교문화비평11(2007), 한국종교문화연구소, p11-20
5. 정진홍, Phenomena and Structure of Rapid Growing Megachurch
종교학연구16(1997),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203-242
6. 정진홍, Redescription and Rectification of the Modernity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Korea Journal41 1(2001),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p5-17
7. 정진홍, 公敎育과 종교교육
宗敎硏究2(1986), 한국종교학회, p21-37(17쪽)
8. 정진홍, 國朝五禮儀宗敎性-吉禮를 중심으로-.
동방사상논고(1983), 종로서적
9. 정진홍, 규원사화의 신화.
문학과지성7 1(1976), 문학과지성사
10. 정진홍, 급성장 대형교회의 현상과 구조.
한국교회성령운동의 구조와 현상(1982), 크리스찬아카데미
11. 정진홍, 기독교와 무속
기독교사상456(1996), 대한기독교서회, p10-18
12. 정진홍, '꿈의 시간'과 예술
종교와 문화5(1999),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119-137(19쪽)
13. 정진홍, 멀치아 엘리아데 연구.
현상학과 개별과학(1985), 한국현상학회
14. 정진홍, 멀치아 엘리아데 - 硏究
철학과 현상학 연구2(1986), 한국현상학회, p69-110(42쪽)
15. 정진홍, 문학적 상상의 구원론적 함의,멀치아 엘리아데의 만툴리사 거리를 중심으로
문학과 종교4(1999), 한국문학과 종교학회, p67-96(30쪽)
16. 정진홍, 물과 한국인의 종교
물과 한국인의 삶(1994), 한국미래학회
17. 정진홍, 반 델 레우 연구
종교학연구11(1992),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18. 정진홍, 복음과 문화의 종교적 이해
基督敎 思想23, 대한 기독교 서회, p21-30(10쪽)
19. 정진홍, 산과 한국인의 종교
산과 한국인의 삶(1993), 한국미래학회
20. 정진홍, 聖의 구조와 양태.
기독교사상193(1974), 기독교사상사
21. 정진홍, 시간을 벗어난 시간: 회상과 희구의 미학을 위하여
한벽문총13(2004), 동방예술연구회, p167-179
22. 정진홍, 시간의 可逆性.
명전논문집1(1975), 명지전문대학
23. 정진홍, 신앙과 상상력
한벽문총5(1996), 동방예술연구회, p101-110
24. 정진홍, 신화의 구조적 분석
宗敎學硏究1(1978),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39-60(22쪽)
25. 정진홍, 인식의 언어와 고백의 언어
철학과 현실(가을호)(1994), 한국문화연구소
26. 정진홍, 전통 관혼상제와 개신교의례.
신학사상37(1982), 한국신학연구소
27. 정진홍, 제7차 교육과정과 종교교육
宗敎敎育學硏究13(2001), 韓國宗敎敎育學會, p3-42(40쪽)
28. 정진홍, 제의와 몸짓: 제의 서술을 위한 하나의 작업가설
종교학연구18(1999),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p1-15
29. 정진홍, 제의의 구조와 의미
현대와 종교19(1996), p3-18
30. 정진홍, 종교다원문화의 인식을 위한 이론적 가설
종교다원주의와 종교윤리(1994),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31. 정진홍, 종교다원주의와 구원론의 전개.
현대사회2 3(1982), 현대사회연구소
32. 정진홍, '종교문화 읽기'를 위한 문법의 모색
사상(여름호)(1994), 사회과학원
33. 정진홍, 종교문화의 만남.
신학사상52(1986), 한국신학연구소
34. 정진홍, 종교와 과학: 엘리아데의 견해를 중심으로
과학사상3(1992)
35. 정진홍, 종교와문학
종교연구7(1991), 한국종교학회
36. 정진홍, 종교와문학
숭실대학교 인문학연구(2006), 숭실대인문과학연구소, p215-246
37. 정진홍, 종교와 음식문화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10(1995),한국식생활문화학회,p487-495(9쪽)
38. 정진홍, 종교와 카리스마
사상과 정책1 3(1984), 경향신문사
39. 정진홍, 종교제의의 상징기능.
신학사상10(1975), 한국신학연구소
40. 정진홍, 종교학과 신학
基督敎 思想30(1986), 대한기독교서회, p162-179(18쪽)
42. 정진홍, 종교학의 과제-방법론적 반성을 위한
宗敎硏究1(1972), 한국종교학회, p115-123(9쪽)
43. 정진홍, 종교현상학과 종교사회학의 만남.
현대사회와 종교(1987), 서광사
44. 정진홍, 종교현상학의 전개
宗敎硏究3(1987), 한국종교학회, p31-82(52쪽)
45. 정진홍, 지적 논리와 예술적 상상
한벽문총10(2001), 동방예술연구회, p43-57
46. 정진홍, 초월,神聖,궁극성.
현상과 인식3 1(1979), 한국일본사회연구소
47. 정진홍, '하늘'님 고
기독교사상165(1972), 기독교사상사
48. 정진홍, 한국 민속문화의 정신적 기원
기독교사상358(1988), 기독교사상사
49. 정진홍, 한국사회와 종교 -한국종교문화의 서술을 위한 제언
서강인문논총9(1999),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p71-102
50. 정진홍, 한국신화의 여성상징 연구.
아시아여성연구23(1984),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p333-354(22쪽)
51. 정진홍, 한국의 종교와 한국인
한국기독교와 역사한국문화연구1(2001),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p7-34
52. 정진홍, 한국인과 종교
사회비평 겨울호 22(1999), 사회비평사, p55-67
53. 정진홍, 한국종교문화의 발전.
한국사회의 발전논리(1984), 흥사단
54. 정진홍,[특집 현대문명과 종교의좌표]超越 神聖 窮極性-現代宗敎를敍述하기위한序論
현상과인식3(1979), 한국인문사회과학회, p78-95(18쪽)
55. 정진홍, 문학과 종교
문학과종교6(2001), 한국문학과종교학회, p111-126
56. 정진홍, 宗敎的 知性 의 歷史意識
문학과지성32(1978), 문학과 지성사, p586-600
57. 정진홍, 형이상학적 반란 그 뒤 <特輯>
문학사상135(1984), 문학사상사, p65-72
58. 정진홍, 한국의 종교문화와 민간신앙
한국미학예술학회지 통권 제15호(2002), 한국미학예술학회, p31-51
59. 정진홍, 21세기 종교학의 몇 가지 특성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 제2집 (2012), 대한민국학술, p197-208
60. 정진홍, 종교윤리
민족지성49(1990), 민족지성사, p410-431
61. 정진홍, 종교문화와 청소년문화;"청소년"에 관한 종교학적 관심의 두가지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4(199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5-21
62. 정진홍, 趙州禪師의 禪思想的 淵源과 그 意義
한국선학 제15호 (2006), 한국선학회, p397-427
63, 정진홍, 특집 논문 : 함석헌이 본 종교, 종교사 본 함석헌 ; 기제발표: <함석헌 현상>의 논의에서 기대하는 것; 종교학 담론의 공간
종교문화비평17권(2010), 한국종교문화연구소
64. 정진홍, 정직한 인식과 열린 상상력
종교문화연구 제13호 (2009), 한신인문학연구소, p243-260
65. 정진홍, 특집 논문 : 최근 한국사회의 죽음의례 ; 기조발제: 죽음의례,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생각
종교문화비평16권(2009), 한국종교문화연구소
66. 정진홍, 혼란의 시대 : 종교, 무엇을 할 것인가?
기독교사상 통권601호 (2009), 대한기독교서회, p238-255
67. 정진홍, 신화적 상상력과 종교
종교연구 제29집(2002), 한국종교학회, p.1-20
68. 정진홍, 종교와 힘
철학과현실 통권75호 (2007), 철학문화연구소, p.43-55
69. 정진홍, 종교도 악이 될 수 있다?
철학과현실 통권79호 (2008), 철학문화연구소, p181-195
70. 정진홍, 종교와 예술
J한국종교사연구 통권 제11호 (2003), 한국종교사학회, p.1-24
71. 정진홍, 종교와 평화
본질과현상:평화를 만드는 책 통권9호 (2007), 본질과현상사, p55-69
72. 정진홍, 한국에서 기독교에 대한 전통한국종교의 교과서
학위논문(박사)(1983),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류성민, 류정인, 초요휘, <중국 운남 기독교사>, 한신대학교 출판부, 2012 (역) (0) | 2014.07.31 |
---|---|
최승환, <국제거래법>, 법영사, 2014 (2006)(1998) (편) (0) | 2014.07.31 |
정진홍, <신인가, 문화인가>, 살림, 2014 (공저) (0) | 2014.07.30 |
정진홍, <커튼을 제끼면서>, 푸른사상, 2014 (공저) (0) | 2014.07.30 |
정진홍, <괜찮으면 웃어주세요>, 당대, 2013 (0) | 201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