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뉴스 레터

498호-인간의 죽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7. 11. 28. 18:47

인간의 죽음


 

  news  letter No.498 2017/11/28             

 

 

 

 

 


       2017년 올 한해도 서서히 저물어가고 있다. 초록빛으로 산을 물들이던 나뭇잎들이 알록달록한 가을 색으로 바뀌더니 이제는 모두 땅에 떨어지고 앙상한 나뭇가지만 남기고 만다. 만물이 생기를 잃고 모두 땅 속으로 움츠려드는 계절이다. 올해는 유난히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이 많았다. 장례식에 다녀온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지인 아들의 결혼식 시간을 물어본다는 것이 그만 장례식이 언제냐고 묻는 실수를 하고 말았다. 아뿔싸! 했지만 이미 내입에서 말은 튀어나오고 잠시 어색한 분위기가 흘렀다. 이제 한창 축복을 받아 새 출발의 선상에 선 사람들에게 장례식이라니? 물론 그 사람은 내가 실수했음을 바로 알아차렸지만,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 했을 지에 대해 적지 않게 신경이 쓰였다.


       사실 결혼식이나 장례식이나 다 우리의 인생에서 일어나는 일이 아니던가? 다만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질 뿐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죽음에 있어서 부정적이며 평시에는 애써 그것을 외면하고 있다고 한다. 퀴블러로스(Elisabeth Kübler-Ross)가 쓴 《인간의 죽음(On Death and Dying, 성염 옮김, 분도출판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죽음을 부정하고, 기피하려하며, 적극적으로 방어하려고 한다. 그녀는 죽음을 맞게 된 2백여 명의 사람들과 대담하면서 그들이 나타내는, 즉 그들이 죽음을 대하는 태도를 다섯 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죽음에 대한 부정이며, 두 번째는 분노와 원망, 그리고 세 번째 단계는 타협의 단계가 나타난다. 그리고 우울의 단계를 거쳐 순응의 단계를 맞게 된다. 물론 이런 일련의 과정이 계단식으로 전이되는 것이 아니라 중첩되어 나타나면서 다음 단계로 옮아가고 그 기간도 사람마다 다르다고 한다.


       ‘이것은 무언가 잘못 되었어. 나한테 일어날 일은 아니야.’가 첫 번째 단계라면 ‘왜 하필이면 나한테 이런 일이?’는 두 번째 단계에 해당된다. 그 다음은 ‘혹시 내가 잘하면 여기에서 벗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의 세 번째 단계로 간다. 그리고 죽음을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죽음 이후에 현세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에 대한 걱정’등으로, ‘사랑하는 모든 것과의 영원한 이별’ 때문에 우울해 진다. 죽음을 받아들이고 감정의 공백상태가 되는 마지막 휴식의 단계에 접어드는 것이 순응의 단계이다. 그러나 이 모든 단계들에서도 사람들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는 것이다. 순응의 단계에 와서조차도 거의 모두가 작은 희망이라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서 우리 모두는 죽음을 벗어나거나 외면하려 애쓰고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그런 거부와 외면, 그리고 마지막까지 지니는 희망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들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인생에서 모두가 겪어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이 탄생과 바로 죽음이기 때문이다. 다만 죽음의 과정에서의 차이가 존재할 뿐이다. 병에 걸려 죽거나 사고로 죽거나, 아니면 남보다 조금 더 오래 살다가 죽을 뿐이다.(앞에서 대담한 사람들은 병원에서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은 사람들이 대상이었다) 사실 자기 자신도 언젠가는 죽을 것이라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죽음에 직면하거나 가까운 누군가가 죽는다면 그것을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왜 그 사람이 죽어야하는지 시시콜콜 따지려들고 그 원인을 분석해서 스스로 납득하기 위해 노력한다.


      흔히 죽음이 두려워 종교가 생겨났다고 하지만, 한편으로 그간 종교는 사람들의 이러한 죽음 거부 내지는 죽음에 대한 분노, 그리고 마지막까지 죽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의 불씨를 끊임없이 지펴온 것일지도 모른다. 내세를 말하면서(물론 내세를 말하지 않는 종교도 있지만) 내세에 영생을 얻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그것이다.


      위의 저서에 따르면 종교를 믿거나 안 믿거나 대체로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한다. 물론 그 가운데 아주 신심이 깊은(?) 일부 사람들은 죽음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다른 사람들과 차별을 보인다고 말하고 있기는 하다.


      지난해 1월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연명의료결정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존엄사가 합법화되었다. 2008년 5월 9일 당시 식물인간 상태에서 인공호흡기로 연명하고 있는 환자의 가족들이 병원 치료 중지를 요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하고 대법원 판결로 합법적 존엄사의 사례가 되었다. 그리고 국회에서 법이 통과됨에 따라 2017년 10월 23일부터 환자나 가족의 의사에 따라 존엄사가 법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는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내년 2월이면 전면적으로 시행된다.


      그리고 이 법에 따라 소화기 계통의 암으로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50대 환자가 본인 스스로 “연명 의료를 받지 않겠다”고 연명의료계획서에 서명하고 얼마 전 사망했다고 한다. 이 사례는 법이 통과된 후의 첫 사례이다. 의료진은 본인이 충분히 의사표현을 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일체의 치료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한 의료적 시술을 하지 않았다. 물론 기본적인 식사를 제공한다던지 통증을 완화하는 정도의 치료는 지속된다.


      삶의 과정에서 거쳐야할 여러 단계들 가운데 가장 최후의 단계에서 마지막까지 생명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집착으로 인해 영원히 헤어질 가족과의 제대로 된 이별이나 품위 있는 죽음 등은 우리의 마지막을 장식할 가장 아름다운 죽음이 아닐까? 그런데 만일 내가 동일한 상태에 처한다면 나도 자신 있게 그런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아마 나도 위의 사례처럼 보다 많은 사람들 가운데 하나가 되지는 않을까? 만일 그렇다면 순응의 단계도 순응이라기보다는 어쩌면 더 이상 어찌해 볼 수 없기에 체념의 상태로 간 것이 아닐까?

 


윤용복_
한국종교사회연구소
논문으로 <현대 한국사회에서 ‘여호와의 증인’의 위치>, <한국 천주교의 의례와 특성>, <대순진리회의 조상의례와 특징> ,<대한성공회의 종교교육>등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