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신화에 대한 몇 가지 단상 news letter No.877 2025/4/8 중국신화에서 우(禹)는 홍수를 다스리고 세계 질서를 창출한 문화영웅으로 묘사된다. 우가 신화의 한 주인공으로 부각된 배경은 20세기 초 중국에 신화 개념이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그전까지만 해도 우는 요, 순, 우, 탕, 문왕, 무왕의 성인 계보에 속하는 존재로 인식되었을 뿐 역사적인 실존 여부가 중요한 관심사가 된 적은 없었다. 신화 개념이 인식의 잣대로 작용하면서 우는 역사성이 부정되었고 급기야 신화의 세계로 들어갔다. 중국인들이 서구의 신화 개념을 처음 접했을 때 보였던 반응은 일종의 열등감이었던 것 같다. 이들이 왜 우리에게는 신화가 없을까 하는 물음을 던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꼭 있어야만 했던 것이 없다는 ..

헌재 선고를 기다리며 미얀마 사람들로부터 배우기 news letter No.876 2025/4/1 올해 상반기 연구소 심포지엄 발표 주제를 ‘국경을 넘은 불교. 미얀마인들의 노동과 민주화 운동’으로 정한 후 인천 부평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부평역에 도착하면 미얀마 핸드폰 가게들이 여럿 보인다. 5번 출구 방면 미얀마 음식점들과 로컬 슈퍼가 있는 곳을 ‘미얀마 거리’라고 부른다. 아직 현지조사의 초기 단계이지만 인상적인 만남들이 있었다. 핸드폰 가게를 운영하는 미얀마 난민이자 민주화운동 활동가가 전하는 긴 이야기를 들었고, 미얀마불교전법사원의 승려와 노동자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 평범한 오피스텔 건물 6층에 자리 잡은 사원에 도착했을 때 눈에 들어오는 모습이 있다. 사원으로 들어가는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