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명수, <뉴에이지운동과 한국의 대중문화>, 집문당, 2009, 262쪽
저자
전명수
1991년 고려대 사회학과 수료, 2001년 고려대 대학원 사회학과 수료, 2007년 고려대 박사과정 수료.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본서의 목적과 의의
제2절 선행연구사 검토
1. 서구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2. 일본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3. 한국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제3절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1. 연구내용
2. 연구방법
제2장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대중문화의 개념과 범주
제2절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관한 유형 분류
제3절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관한 이론과 실제
1. 종교 속으로의 대중문화 편입
2. 대중문화 속으로의 종교 편입과 종교로서의 대중문화
3. 종교와 대중문화의 대화와 갈등
4. 뉴에이지의 경우: ‘대중문화로서의 종교’ 성립의 가능성
제3장 뉴에이지 운동의 전개와 변모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뉴에이지 운동의 개념과 본질의 재고찰
1. 대체종교와 사회운동의 이원적 개념과 그 의미
2. ‘영성’ 논의의 문제점과 뉴에이지 운동의 핵심사상으로서의 ‘변형’
제3절 뉴에이지 운동의 대중문화 활동으로의 방향전환
1. 방향전환의 배경
2. 뉴에이지 대중문화의 유형과 1960년대 반문화운동의 역할
제4절 소결
제4장 뉴에이지 운동의 한국 수용과 특성
제1절 뉴에이지 운동의 한국 수용 배경
1. 전통문화적 배경
2. 시대적 배경
제2절 뉴에이지 운동의 한국 수용사
1. 1980년대 뉴에이지 운동의 수용 전사(前史): 명상서적과 수련의 소개와 수용
2. 1980년대 말-1990년대 초 뉴에이지 운동의 우호적 수용과 비판의 양극화
3. 1990년대 중반 이후 뉴에이지 운동의 이론적 수용과 ‘뉴에이지 스타일’의 형성
제3절 한국 뉴에이지 운동의 문화적 지향과 특성
1. 기성종교에 대한 도전: 탈권위적 저작물의 범람
2. 개인의 잠재능력에 대한 자각: 명상, 음악, 수련의 활성화
3. 초월주의의 수용: 환생과 환상을 그린 영상물의 인기
제4절 소결
제5장 뉴에이지 운동의 전인주의와 한국 ‘웰빙’ 대중문화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뉴에이지 운동의 핵심 사상으로서의 전인주의
1. 뉴에이지의 영지주의적 전통과 영적 에너지에 대한 관점
2. 뉴에이지의 인간관과 전인적 건강
제3절 전인주의에 기반한 한국 웰빙 대중문화의 특성
1. 개인의 건강 추구와 웰빙 대중문화
2. 전인주의(holism)에서 일체성(wholeness)으로: 지구의 웰빙 운동
제4절 소결
제6장 뉴에이지 운동이 한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과 그 의미
제1절 대중문화의 질적 변용과 특성
1. ‘종교적 주제’의 대중화와 신비주의적 색채의 확산
2. ‘건강’ ‘웰빙’ 대중문화의 성장과 개인주의적 성향 확대
제2절 대중문화 속의 대립과 갈등
1. 뉴에이지 대중문화와 기성종교의 대립
2. 상업주의의 편승에 따른 갈등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현범, <타자의 시선으로 본 19세기 조선>, 책세상, 2002 (0) | 2012.02.17 |
---|---|
전명수, <한국의 종교와 사회운동>, 이학사, 2010(공저) (0) | 2012.02.17 |
임현수,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 푸른역사, 2006(공저) (0) | 2012.02.17 |
이창익, <종교와 스포츠>, 살림출판사, 2004 (0) | 2012.02.17 |
이창익, <종교와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공저) (0) | 201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