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창익, <종교와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832쪽(공저)
책소개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의 『종교와 역사』. 이 책이 수록한 논문들은 종교사학의 고민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종교'와 '역사'의 만남이 빚어내는 종교문화에서 새롭게 '종교와 역사'를 서술하고자 하는 그러한 노력은 그대로 현재 진행형인 '종교사학의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 책은 한국의 종교문화에 관한 전반부와 세계 종교와 비교종교학에 관한 후반부 등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눔으로써, 한국의 근ㆍ현대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에 주목하고 있다. 사실 한국의 종교문화나 종교학을 논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근ㆍ현대라는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역사적 상황은 세계사적 보평성과 한국 근ㆍ현대의 특수성이 맞물려 형성된 것으로, 이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고려할 때만 한국의 종교문화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세계 종교와 비교종교학도 그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통해서 구성된다.
저자
이창익
한신대학교 학술원 연구 교수이자 종교학자. 종교가 한계를 드러내며 성스러움의 증발을 고민하는 시대, 광고와 대중 예술 같은 일상 생활에서 사회체제의 일부로 포섭된 현대 거대 종교의 핵심부까지 뒤흔들고 있는 성(聖)과 속(俗)의 긴장과 갈등을 현대 종교학이라는 섬세한 학문으로 접근하고 있다. 종교가 종말을 고해 불확실성 속에 알몸으로 던져진 현대인의 고통스러운 탈출의 몸부림을 종교학의 언어로 그려 내고 있다.
목차
머리말
1. 한국 전통문화와 종교
다산의 『논어』 해석과 禮樂論: 禮의 질서와 樂의 조화 / 금장태
지리산 성모신앙에 대한 소고(小考): 민간의 신앙을 중심으로 / 이용범
한국 종교사 속의 미륵과 칠성신앙:
운주사의 칠성바위와 숙종조 미륵불 사건의 해석을 중심으로 / 김일권
욕망의 일상성과 금욕적 실천: 조선 후기 천주교의 경우 / 김윤성
신뢰의 근원과 지속: 동학의 믿음과 수련체계 / 최종성
조선 후기 역서와 의례의 상호성에 대한 연구 / 이창익
조선조 유교사회와 풍수담론 / 이 화
2. 한국 근현대의 종교문화
근대화와 한국 종교의 개념 / 김종서
근대 한국 신종교의 민족 개념: 대종교?원불교?무교회주의를 중심으로 / 강돈구
평양 봉수교회의 교회사적 의의 / 김흥수
한국 무신앙의 과제와 전망: 서구 네오샤머니즘(Neo-Shamanism)의 예를 바탕으로 / 이희정
한국 근대 개신교 지식인의 종교인식: 韓稚振의 『宗敎哲學大系』를 중심으로 / 이진구
근대 한국 불교의 타종교 인식: 1910-1930년대 불교 잡지를 중심으로 / 송현주
1920년대 만주에서의 ‘大高麗國’건국 구상: 한국 민족종교와 일본 亞細亞主義者의 만남 / 삿사 미츠아키
3. 세계종교와 비교종교학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 황필호
이슬람 국가의 전통적 종교기구: 울라마의 형성 과정과 그 역할 / 김정위
돈오돈수론의 문화비평적 의의: 불이법적 세계관과 분절적 세계관 / 윤원철
녹색불교윤리 연구 / 김용환
토마스 머튼 신비신학의 기본구조와 특성 / 김영태
R. Panikkar의 우주신인론적 기독론 / 위거찬
‘신국 일본’의 계보 / 박규태
라마크리슈나 운동의 특징과 전개 / 윤용복
나가(뱀)와 약샤신앙을 통해 본 인도 민간신앙의 기원과 성격 / 류경희
유교 ‘국교화’에 대한 의문: 중국 종교사 이해를 위한 문제 제기 / 이용주
길가메시 서사시』의 형성 과정과 최종 편집자의 편집 의도 / 배철현
기독교 역사 속의 신 담론: 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신재식
독립된 요인으로서의 종교: 시스템 이론적 관점에서 / 김일겸
고대 후기 그리스도교 성지의 중층적 종교성: 마므레(Mamre)의 예 / 최화선
일본의 사회변화와 불교계의 세속화 양상 / 시노다 ??이치
한국종교와 일본종교의 형태에 관한 일고찰: 일본종교의 구조와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카미벳부 마사노부
1. 한국 전통문화와 종교
다산의 『논어』 해석과 禮樂論: 禮의 질서와 樂의 조화 / 금장태
지리산 성모신앙에 대한 소고(小考): 민간의 신앙을 중심으로 / 이용범
한국 종교사 속의 미륵과 칠성신앙:
운주사의 칠성바위와 숙종조 미륵불 사건의 해석을 중심으로 / 김일권
욕망의 일상성과 금욕적 실천: 조선 후기 천주교의 경우 / 김윤성
신뢰의 근원과 지속: 동학의 믿음과 수련체계 / 최종성
조선 후기 역서와 의례의 상호성에 대한 연구 / 이창익
조선조 유교사회와 풍수담론 / 이 화
2. 한국 근현대의 종교문화
근대화와 한국 종교의 개념 / 김종서
근대 한국 신종교의 민족 개념: 대종교?원불교?무교회주의를 중심으로 / 강돈구
평양 봉수교회의 교회사적 의의 / 김흥수
한국 무신앙의 과제와 전망: 서구 네오샤머니즘(Neo-Shamanism)의 예를 바탕으로 / 이희정
한국 근대 개신교 지식인의 종교인식: 韓稚振의 『宗敎哲學大系』를 중심으로 / 이진구
근대 한국 불교의 타종교 인식: 1910-1930년대 불교 잡지를 중심으로 / 송현주
1920년대 만주에서의 ‘大高麗國’건국 구상: 한국 민족종교와 일본 亞細亞主義者의 만남 / 삿사 미츠아키
3. 세계종교와 비교종교학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 황필호
이슬람 국가의 전통적 종교기구: 울라마의 형성 과정과 그 역할 / 김정위
돈오돈수론의 문화비평적 의의: 불이법적 세계관과 분절적 세계관 / 윤원철
녹색불교윤리 연구 / 김용환
토마스 머튼 신비신학의 기본구조와 특성 / 김영태
R. Panikkar의 우주신인론적 기독론 / 위거찬
‘신국 일본’의 계보 / 박규태
라마크리슈나 운동의 특징과 전개 / 윤용복
나가(뱀)와 약샤신앙을 통해 본 인도 민간신앙의 기원과 성격 / 류경희
유교 ‘국교화’에 대한 의문: 중국 종교사 이해를 위한 문제 제기 / 이용주
길가메시 서사시』의 형성 과정과 최종 편집자의 편집 의도 / 배철현
기독교 역사 속의 신 담론: 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신재식
독립된 요인으로서의 종교: 시스템 이론적 관점에서 / 김일겸
고대 후기 그리스도교 성지의 중층적 종교성: 마므레(Mamre)의 예 / 최화선
일본의 사회변화와 불교계의 세속화 양상 / 시노다 ??이치
한국종교와 일본종교의 형태에 관한 일고찰: 일본종교의 구조와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카미벳부 마사노부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현수,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 푸른역사, 2006(공저) (0) | 2012.02.17 |
---|---|
이창익, <종교와 스포츠>, 살림출판사, 2004 (0) | 2012.02.17 |
이창익, <불교와 국가권력, 갈등과 상생>,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2010(공저) (0) | 2012.02.17 |
이창익, <불확실한 세상>, 사이언스북스, 2010(공저) (0) | 2012.02.17 |
이욱, <조선시대 재난과 국가의례>, 창비, 2009 (0) | 2012.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