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임현수,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 푸른역사, 2006, 347쪽(공저)
책소개
이 책은 한국학연구소에서 주최한 제2회 학술심포지엄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2005년 10월)에서 발표한 1편의 기조발표와 5편의 주제발표 그리고 종합토론을 보완하여 대한제국의 근대성을 규명하고자 기획되었다. 대한제국이 근대국가라는 것을 일단 인정하고, 그 근대성이 어떤 점에서 미숙했는가를 짚어보는 과정을 통해 대한제국의 주관적 노력과 의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결과적으로 실패한 원인을 양면적으로 찾아보고자 하였다. 즉, 대한제국의 빛과 그늘을 모두 포착해보자는 문제의식 하에, 정치사분야, 경제분야, 외교분야, 역법과 종교, 서울의 도시개조분야 등의 5가지의 주제의 발표와 기조논문을 수록하였다.
저자
임현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갑골문 및 금문 연구/ 고대 중국의 시간 연구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대한제국을 어떻게 볼 것인가_한영우
국가론적 측면에서 본 대한제국의 성격_서영희
부록1 ‘국가론적 측면에서 본 대한제국의 성격’에 대한 토론문_김동택
대한제국의 경제정책과 재정상황_이윤상
부록2 ‘대한제국의 경제정책과 재정상황’에 대한 토론문_이헌창
고종의 대내외 정세인식과 대한제국 외교의 배경_강상규
부록3 ‘고종의 대내외 정세인식과 대한제국 외교의 배경’에 대한 토론문_이민원
대한제국시기 역법정책과 종교문화-‘음력’의 탄생과 국가경축일의 제정_임현수
부록4 ‘대한제국시기 역법정책과 종교문화’에 대한 토론문_문중양
근대도면자료와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건축의 변화_전봉희·이규철
부록5 ‘근대도면자료와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건축의 변화’에 대한 토론문_전우용
종합토론
주석
찾아보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명수, <한국의 종교와 사회운동>, 이학사, 2010(공저) (0) | 2012.02.17 |
---|---|
전명수, <뉴에이지운동과 한국의 대중문화>, 집문당, 2009 (0) | 2012.02.17 |
이창익, <종교와 스포츠>, 살림출판사, 2004 (0) | 2012.02.17 |
이창익, <종교와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공저) (0) | 2012.02.17 |
이창익, <불교와 국가권력, 갈등과 상생>,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2010(공저) (0) | 201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