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김윤성, 브루스 링컨, <신화 이론화하기>, 이학사, 2009, 567쪽(공역)
저자
브루스 링컨
브루스 링컨은 미국 시카고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북미의 대표적인 종교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20세기 후반 세계 종교학계와 신화학계를 이끌었던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제자이지만, 스승의 거시적이고 낭만적인 학문과는 성격이 전혀 다른 학문을 추구해왔다. 태생적으로 유대인이고, 사상적으로 맑스주의자이자 프로이트주의자인 그는 탄탄한 사회-문화 관련 이론을 토대로 다양한 시대와 지역을 넘나들면서 역사와 현재 속의 종교적 담론과 실천들에 관한 미시적이고 비판적인 분석을 수행해왔다. 주요 저서로 『종교, 제국, 그리고 고문』(2007), 『거룩한 테러』(2003), 『권위』(1994), 『죽음, 전쟁, 그리고 희생제의』(1991), 『담론과 사회구성』(1989) 등이 있다.
역자
김윤성
서울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조선후기 천주교 성인공경에 나타난 몸의 영성」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신대 종교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저서로 『종교전쟁: 종교에 미래는 있는가』(공저), 『종교 읽기의 자유』(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젠더의 렌즈로 신화 읽기」, 「신화와 에로티즘의 유형학」 등이, 역서로 『거룩한 테러』, 『다윈 안의 신』 등이 있다.
최화선
최화선은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고대후기 그리스도교 순례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한신대, 외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밟았다. 논문으로 「신화의 변형과 재창조: 오이디푸스 신화를 중심으로」, 「로마 공화정 말기의 ‘종교’와 ‘미신’ 개념」, “WOMEN’S STATUS AND SELF-REALIZATION IN THE FOURTH CENTURY CHRISTIAN PILGRIMAGE” 등이 있으며, 역서로 『마야: 삶, 신화, 그리고 예술』이 있다.
홍윤희
홍윤희는 연세대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중국 근대 신화담론의 형성」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한국학연구소에서 박사 후 과정을 밟았고, 현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학술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聞一多 「복희고」의 화행과 항전기 신화담론의 민족표상」, 「 ‘山海經’의 상징체계와 그 의의」, 「20세기 초, 중국과 신화학의 만남」 등이 있으며, 저서로 『영화와 탈신화』(공저), 역서로 『신화의 이미지』가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그리스인들의 뮈토스
1장 뮈토스와 로고스의 옛 역사
2장 호메로스로부터 플라톤을 거쳐
제2부 신화의 근대사
3장 르네상스에서 제2차 세계대전까지 신화의 역사
4장 존스 경의 기원 신화
5장 니체의 "금발의 야수"
6장 뒤메질의 게르만 전쟁 신
제3부 새로운 방향들
7장 제2차 세계대전에서 현재까지(아마도 조금 더)
8장 플루타르코스의 시빌라
9장 『가우트렉의 사가』와 선물 여우
10장 황소의 탄식 다시 읽기
11장 산스크리트 학자와 존스 경
후기: 신화로서의 학문
주석
부록: 옮긴이의 인명 및 용어 설명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연구원 업적 및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유진,<원효사상연구>, 1998, 경남대학교 출판부, 176쪽 (0) | 2012.02.17 |
---|---|
최승환, <수출통제:이론과실무>, 박영사, 2006(공저) (0) | 2012.02.17 |
신재식, 김윤성, <종교전쟁: 종교에 미래는 있는가>, 사이언스북스, 2009, 647쪽(공저 (0) | 2012.02.17 |
김윤성, 존 호트,<다윈 안의 신>, 지식의 숲, 2005(역) (0) | 2012.02.17 |
김윤성, 브루스 링컨,<거룩한 테러 : 9.11 이후의 종교이해>, 돌베개, 2005(역) (0) | 201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