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돈구,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736쪽(공저)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1. 2. 고조선의 변천 / 노태돈 3. 단군관계 문헌자료 연구 / 서영대 4. 단군 연구사 / 이필영 5. 단군 인식의 역사적 변천 6. 고려시대 단군신화 전승문헌의 검토 / 최병헌 7. 조선시대 / 박관용 8. 한말 일제시기의 단군사상과 독립운동 / 신용하 9. 단군신화의 문화적 연구 / 성현경 10. 단군신화의 민속학 및 철학, 사상 분야의 연구 / 강돈구 11. 북한에서의 단군 연구 / 김정숙 12. 13. 단군 신앙의 역사와 의미 / 이은봉 14. 한국 단군 신앙..
강돈구, , 집문당, 1992, 236쪽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序論 1. 問題의 提起 가. 民族宗敎와 民衆宗敎 나. 問題意識 2. 硏究의 範圍와 構成 제2장 近代 民族主義와 宗敎 1. 近代 民族主義의 展開와 課題 가. 民族主義의 性格 나. 近代 民族主義의 課題 2. 近代 宗敎民族主義의 構成要素 제3장 東洋 古典宗敎와 民族主義 1. 近代 儒敎와 民族主義 가. 小中華意識의 性格 1) 中華思想 2) 崇明排淸 義理論 나. 實學의 民族意識 1) 中華意識의 克服 2) 歷史意識 다. 斥邪衛正論의 民族主義的 性格 라. 儒敎改革運動과 民族主義 1) 朴殷植..
강돈구, 제임스 헌들리 그레이슨, , 민족사, 1995, 420쪽(역) 책소개 서구의 학계는 동북아시아의 끝부분에 있는 한국에 대해서 거의 모르고 있는 실 정이다. 한국이 아시아의 문화사나 종교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무시되고 간과 되고 있다. 더욱이 한국이 단지 중국문명을 일본에 전해준 다리 역할밖에 하지 않았다고 주장될 정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역사적으로나 현대 세계에서 한국 종교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하면 잘못된 주장이다. 근대 이후 동아시아 에서 가장 정통적이고 전통적인 불교, 유교, 기독교의 역동적인 형태를 이책은 소개하고 있다. 저자 제임스 헌들리 그레이슨 역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
강돈구, D.L. 카모디, , 서광사, 1992(역) 저자 D.L. 카모디 역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옮긴이의 말 지은이의 말 서론 1. 고대 종교 2. 인도의 종교들 3. 동아시아의 종교 4. 유대교 5. 기독교 6. 이슬람교 7. 맺음말 참고문헌 이름찾기 내용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