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돈구 외, J.실리, , 서광사, 1992, 176쪽(역) 책소개 종교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들을 단순히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종교 교육의 현황을 잘 보여주고 종교 교육이 지니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들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안목에서 세밀히 고찰한 좋은 입문서이다. 저자 J.실리 역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1. 종교 교육에 대한 철학적 검토 2. 종교와 지식 3. '종교적으로 교육된' 사람이란 말은 의미있는 말인가? 4. 종교 교육 이론 5. 교리 교육, 봉헌 그리고 종교 교육 6. 종교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7. 추천도서
강돈구, D.B. 맥코운,, 서광사, 1991, 271쪽(역) 저자 D.B. 맥코운 역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옮긴이의 말 감사의 글 약어표 서론 제1장 마르크스의 종교 비판 1. 종교와 마르크스 사상의 통일성 2. 종교 비판의 전말 3. 자연 종교에서 시민 사회의 종교로 4. 종교의 본질과 기능 제2장 엥겔스의 종교 비판 1. 종교 비판에서의 엥겔스의 역학 2. 종교의 발생에서 소멸까지 3. 종교의 가면과 위장 4. 엥겔스 종교 비판의 통일성 제3장 레닌의 종교 비판 1. 종교의 기원, 발전, 본질, 그리고 기능 2.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의 종교..
강돈구, 니니안 스마트, , 청년사, 1986, 244쪽(역) 저자 니니안 스마트 니니안 스마트는 글래스고우 아카데미와 옥스포드 대학에서 수학한 후, 웨일즈 대학, 런던 왕립학교, 버밍행 대학 등에서 철학, 종교사, 종교 철학, 신학을 가르쳤다. 1967년에는 랭카스터 대학에 종교학과를 설치하여 영국 종교 학계의 주축인 랭카스터 학파를 일구었으며, 현재는 랭카스터 대학과 캘리포니아의 산타바바라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역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목차 제1장 종교학과 세계관 분석 제2장 세계관의 종류와 구조 제3장 경험적 차원 제4장 신화적 차원 제5장 교리적..
윤승용, , 태학사, 2008, 288쪽(공저) 저자 윤승용 한국종교문화연구소장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 생사관이란? 2. 한국인의 역사적 생사관 2장 한국 선도(仙道)의 생사관 1. 한국 선도의 범위와 특징 2. 고대 선교에 나타난 삶과 죽음 3. 중세 관방도교와 무병장수의 염원 4. 조선 선파(仙派)의 생사관 5. 한국 선도의 생명 사상 6. 맺는 말: 정책적 의미 3장 한국불교의 생사관 1. 무아설(無我說)의 생사관 2. 윤회설의 생사관 3. 불교 장례의 역사적 전개 4. 우리나라 불교의 상장례 5. 우리나라 불교 상?장례 의식이 가지고 있는 생사관 6. 우리 나라 장묘문화의 현황과 그 개선방안 4장 제문에 나타난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생사관 1. 서론 2. 공적 영역을 중시했던 주자학적인 사생관..